Ancient Culture & .../수메르

[스크랩] 수메르어 문법 입문 (2) - 문자 체계

monocrop 2015. 3. 25. 01:53

수메르어 문자 체계

 

1. 음역 관례

 

A. 기호 구분과 목록 번호

 수메르어에는 수 많은 동음이의어가 있다. 같은 발음이라해도 의미가 다른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서로 다른 문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Du 오다, 가다

 Du (집을) 짓다, 만들다

 Du (씨앗을) 뿌리다, (사람을) 풀어주다


이 때문에 발음으로 수메르어를 표기할 때에는 번호를 함께 표기하여 의미를 분명히 하는 것이 관례이다. 수메르어 단어에 붙이는 번호는 1948년 출간된 Labat의 아카드 비석문 메뉴얼을 따른다. 새롭게 정리된 단어표로는 2002년의 L.J. Board의 것이나 2006년의 C. Mittermayer의 것이 있다. 새롭게 정리된 문자표는 특히 고대 바빌로니아 시기의 문학 텍스트를 번역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고대 수메르어 시기의 텍스트를 판독하는 데에는 Y. Rosengarten의 Répertoire commenté des signes présargoniques sumériens de Lagaš (1967)가 도움이 될것이다. 한편, R. Borger의 Assyrisch-babylonische Zeichenliste (AOAT 33/33a, 1978)는 근래에 들어 일반적인 참조문헌이 되었으며 F. Ellermeier의 Sumerisches Glossar I/1 (1979-80) 역시 많이 사용된다. 이 글에서는 Borger의 목록 번호를 사용한다. 아래의 예를 보기 바란다.


단음절 기호     다음절 기호

du (= du1)      muru                단어의 첫번째에 놓이는

dú (= du2)       múru              모음의 음가에 주목할 것!

dù (= du3)       mùru

du4 etc.          muru4 등.


Labat이 작성한 초기 음가 번호에는 다음절의 표기에서 많은 이형이 존재한다. Labat은 강세를 표현하기 위해 4-5번까지 숫자를 사용하여 다음절 기호에 번호를 부가하였다. 아래의 예를 보자.

murú (= muru2)

murù (= muru3)

múru (= muru4)

mùru (= muru5)


이 표기법에서 장음과 단음은 고려되지 않았다. 예를 들면 túk은 /tuk/ 이나 /tuku/ 를 의미한다. Labat은 túku를 tuku4로 표기하지 않고 tuku2, 즉 /túk(u)/로 표기하였었다. 반면에 이 글에서 사용되는 Borger의 Abz 번호 표기법은 2-3번까지로만 나타내어 다음절 기호의 첫번째 모음에 강세가 있는지만을 표기하고 있다. Labat 역시 후기 연구에서는 Borger의 번호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발음되지 않은 모음을 위해 예외적임을 나타내는 번호 표기로 x가 쓰인다. "옆면"을 뜻하는 dax와 같은 예가 있다.


강세의 표기에 대한 부분은 수메르어 기호 표기에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어 왔으며 최종적으로 펜실베니아 수메르어 사전(펜실베니아 프로젝트)에서  du, du2, du3, du4와 같은 표기를 채택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수메르어 문학에 나타나는 강세를 파악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이며 초보자들은 이러한 강세 표기에 익숙해져야만 한다. 이 글 역시 이러한 점이 고려되었다.


B. 부가적인 표기: 대문자 표기와 소문자 표기, 기울임 표기, 괄호

 

수메르어만으로 된 텍스트를 표기할 때에는 수메르어 낱말을 로마자 소문자로 표기하였다. 대문자로 표기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용례에 따라 사용되었다.


1) 기호의 정확한 의미가 불분명한 경우. 수메르 문자의 많은 기호들은 다의적이기 때문에 하나의 기호라도 다른 뜻으로 쓰였거나 다르게 읽힐 수 있다. 이렇게 일반적이지 않은 뜻으로 사용되었다고 추측될 경우 해당 낱말을 로마자 대문자로 표기하였다. 예를 들어 KA-ĝu10 ma-gig (내 KA가 나를 다치게 했다.)에서 KA는 신체의 일부를 뜻하는 것은 분명하나 그것이 그냥 ka (입)인지 아니면 kìri(코)나 zú(이빨)인지 불분명하다. 이 경우에는 문맥의 전후를 살펴야만 그 의미를 분명히 할 수 있다.


2) 정확한 발음이 불분명한 경우. 예를 들어 a-SIS(짠 물 = 바다)에서 "짜다"를 뜻하는 SIS의 발음은 [ses]였는지 [sis]였는지 분명하지 않다. 이 경우 어느 한쪽으로 확정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대문자로 표기하였다.


3) 정확한 음가가 소실된 경우. 정확한 음가가 소실되어 x로 표기되는 낱말의 추정 음가는 대문자로 표기하였다. 예를 들면 dax(Á).


4) 약어의 조합인 경우. 예를 들어 énsi(PA.TE.SI) 또는 ugnim(KI.KUŠ.LU.ÚB.ĜAR).


두 종류의 언어가 함께 쓰였거나 아카드어인 경우 다양한 표기 관례를 섞어 사용한다. 이 경우 일반적인 아카드어는 그냥 로마자 소문자로 표기하거나 기울임꼴로 표기하고 수메르어만을 대문자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a-na É.GAL-šu (그의 집으로). 일부 책에서는 아카드어를 로마자 소문자나 기울임꼴로 표기하고 수메르어는 글자 사이를 띄어쓰기도 한다.


한편 발음은 되지 않으나 낱말의 의미를 분명히 하기위해 쓰인 지시자는 점을 찍어 발음이 되는 낱말과 구분한다. 예를 들어 ĜIŠ.HAŠHUR 이것은 ĝiš.hašhur로 표기되거나 지시자인 ĝiš를 윗첨자로 표현할 수도 있다.


기호의 일부나 전체가 소실된 경우에는 괄호를 써서 나타낸다. 예를 들어 lu[gal] 또는 [lugal]. 


C. 연결된 기호나 낱말의 표기 관례

 

 이음줄과 마침표 


아카드어 텍스트의 표기에서 이음줄은 수메르어를 음차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고 마침표는 아카드어 부분과 수메르어 부분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수메르어의 표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용례로 쓰인다.

énsi(PA.TE.SI)      "통치자" 

kuš,É.ÍB-ùr            "방패"

an-šè                   "하늘을 향해"


수 많은 문제점때문에 이음줄의 사용에 대한 보편적인 규칙은 없다. 가장 큰 이유는 아직까지도 수메르어 낱말의 구성 원리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는데 있다. 이 때문에 우리는 아직까지도 수메르어 각각의 기호를 음차할 수 있을 뿐, 이를 낱말단위로 구성하여 음역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동사 연결의 경우에는 접사가 언제나 함께 붙어 표기되는 반면, 명사 연결의 경우에는 부사나 형용사, 소유격조사 등이 명사에 접두사 또는 접미사처럼 연결되어 표기되고, 수메르어만으로 된 텍스트에서는 이것들의 연결이나 분리 방식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 학자들 마다 이를 다루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형태소 단위로 이음줄을 사용하여 낱말을 만드는 방식이 쓰인다. 예를 들면,


합성어의 경우 그것을 구성하는 낱말 사이를 이음줄로 표기한다.

dub-sar       "필경사"

lú-má-lah4   "선원"


간단한 형용사는 언제나 그것이 수식하는 명사 뒤에 온다. 최근에는 이를 각각 독립된 낱말로 파악하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

dumu-tur 또는 dumu tur     "아이-작은" = "작은 아이"


동사와 부사는 이음줄로 연결되어 표기될 수도 있고 분리하여 표기할 수도 있다.

é-dù-a 또는  é dù-a     "집-지어진" = "지어진 집"


소유격조사가 쓰인 명사와 이것이 수식하는 명사는 이음줄로 연결하지 않는다.

é lugal-la    "집 왕-의" = "왕의 집"


보편적인 방법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 수메르어의 구성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는 여전히 개개인의 감각에 의존하고 있다. 기호의 연결은 수메르어가 갖고 있는 특징을 보다 뚜렸하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일 뿐이다. 수메르어 문자체계 자체에는 이음줄이나 마침표는 물론이고 어떠한 문장부호나 발음기호도 존재하지 않는다. 로마자 표기에서 문장부호나 발음기호를 사용하는 것은 그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덧셈(+)기호와 곱셈(X)기호 


기호 음가와 음가 사이에 곱셈 기호 X 를 넣은 것은 X를 기준으로 두 개의 의미로 파악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Ocqk.png (191×110)  KA(입) X A (물)     naĝ "마시다"

KAxA


이렇게 합성된 낱말의 음가가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기호만으로 뜻을 해석한다.


Oaqx.png (123×109) URU (도시) X A (물) URUxA  "물의 도시"

URUxA


두 개의 낱말이 결합되어 사용되면서 하나의 낱말처럼 쓰일 때에는 덧셈(+)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Oaxy.png (222×109) GAL(크다) + LÚ (사람)    lugal   "왕"

GAL+LÚ


Odpm.png (269×109) GAL(크다) + UŠUM(뱀)   ušumgal  "용"

GAL+UŠUM 

출처 : John Jin의 횡설수설
글쓴이 : 굼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