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 ... Writing/향가·만엽가·일본서기 해석

[스크랩] 혹부리 고대 일본천황 모습을 찾았다(萬葉歌의 寶庫)

monocrop 2011. 9. 28. 18:12

 

만엽가(고단사번호1638번)

 

나누리예술단의 혹부리 영감 공연 포스트

사진자료:시티뉴스 

혹부리 영감 동화집-도깨비와 혹부리영감 


 

01

02

03

2009년일본왕의 금혼식

현재 천황 '아키히토' '미치코'왕비

<사진 연합뉴스> 

 메이지천황과 전통의상을 입은

왕비<사진자료:경향신문>

2008년 일본 황실 가족 사진

<자료:경향신문> 


 

 

 

                     <일본 천황의 교토의 왕궁, 교토고쇼(京都御所),조메이묘(承明門)를 통해서 본 시신덴(紫宸展/궁궐의 정전) 사진:블로거 eden>

본문

靑丹吉奈良乃山有黑木用造有室者雖居座不飽可聞

 

푸르던 길이(丈)

나아졌네

모가지 사마귀(혹)

나이먹었으면 달려 가졌을

자다만져 살(짝) 잡을

배불러 안에 들어  

 

 

<만엽가는 고대 일본 문화 및 생활상의 자료 보고이다>

 

●진정한 해독을 통해서 숨겨진 고대 일본의 여러 실상을 알 수 있도록 필자가 제시한 새로운 해독 방법을 터득하여 완역할 해야 한다.

기존의 일본 해독 방법으론 근본적 오류 때문에 완역이 이뤄 질 수 없다. 만엽가는 일본에 존재하는 일본 고대시가인 동시에 속 내용은 한국어로 이뤄졌기 때문에 한국고대시가에 속한다. 고로 한일 양국은 기존 오류 상태의 만엽가 해독서를 폐기하고 조속히 공동 연구 체제로 인적 구성을 통해 진정한 해독에 돌입하여야 한다.

  

일본의 고대시가를 모은 서적이 '万葉集(만요슈)"이다. 만엽의 노래인 만엽가는 약 4600여수가 남아있다.

그 노래말을 진정으로 해독해 보면, 고대 일본의 타임캡슐을 연 것처럼, 고대 일본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다.

그 수단으로 '한국말'을 이용해야만 한다. 그들이 사용한 언어가 순수 '한국어'였다는 사실이 필자가 발견하였고, 그 집적물을 1991년 10여년간의 연구 끝에

한권의 책으로 국내에 출판하였다. '일본서기 고대어는 한국어'(빛남) 이후 만엽가(일본향가)향가(신라향가)를 순수 한국어로 해독한 책,'전혀다른 향가 및 만엽가'(우리문학사1993년)을 출간하였다. 한 사람이 해독하기엔 너무나 방대하고 많은 세월을 요하는 작업은 현재 진행형이다.

 

오늘 소개하는 만엽가 1638번(고단사 정리번호)속  타임캡슐 보물은 어떤 비밀을 노출하고 있을까? 해독하는 동안 궁금증이 머리 속을 며칠 동안 아니, 원 해독 시간으로 부터 12년이 걸려서 찾아낸 결론은 '혹달린 천황의 모습이었다'

위의 노래말은 천황의 노래이다.  佐保宅(저택)에서 베푼 만찬(肆宴)에서 천황의 모습이었다.

이 처럼 만엽가는 고대 일본인들의 생활상과 그들의 삶과 안방 모습의 제반 삶을 노래한 노랫말이다.

그 향찰식 해독을 정확하게 해독함으로써 그 들의 진정한 삶의 정체를 알 수 있다. 일제 강점시기에 조선 총독부가 조선의 민속자료를 묶은 책에 '혹부리영감'이 나온다.

 일본에서 전래 동화에도 '혹부리영감'과 동일한 내용의 동화가 전래되고 있다. 목에 혹 달린 혹부리 천황은 과연 어떤 시대 천황이었을 까.

만엽가의 종언시대는 10세기부터이니, 그 이전의 천황으로 압축되어지고 노랫말 한자에 나타난 奈良(아스카시대)가 등장한다. 아스카시대는 8세기 중반 이전이다. 일본 50대 천황이며 백제계통 칸무천황(8세기중반)시대에 '나라' 에서 헤이안(平安)시대로 넘어간다. 지금의 교토(京都)로 수도를 옮겼다.

 

 헤이안 시대의 도래이다 만엽가 한자는 향찰식 표기로 사용되어졌다. 순수 한문식의 어순이 아니고 지금의 우리말 어순이다. 한자는 '소리부호'인 셈이다. 훈값(의미)과 음값(음독)의 소리값을 차용하여 읽어야한다. 고사기(712년 일본의 역사서)를 쓴 태안안만려(백제 도래인)이 서문에서 이를 밝혀 놓았다. 하지만 현재 일본학자들은 그 훈값과 음값을 오늘날 일본어 훈값과 음값인 줄 믿고 있어서 그 법칙대로 적용하니 만엽가의 해독이 해독불능 상태에 빠져버렸다.

 

순수한국어를 사용하지 않으니 어찌 진정한 뜻을 해독할 수 있으리. 일본 역사학자들은 위 천황의 존재를 꼭 찾아내길 바란다. 그 들의 몫으로 남겨 둔다.만엽가 한자 해독에 있어서 고대 일본인이 사용한 방법은 ☞한자의 重義法(중의법)과 寓義法(우의법)을 적절하게 잘 사용하고 있다. 같은 음값의 한자를 사용하여 은유적인 내용을 암시하는 뜻글자의 표현을 나타낸 것 처럼 말이다.예를 들면 예, 민화의 그림 속이나, 가구 장식에 박쥐 5마리가 그려진 그림, 장식은 五福을 상징하는 것이다.

福자와 蝠(박쥐 복)의 음독이 같은 점을 활용한 것이다. 즉 중의법과 우의법을 사용한 예이다. 김삿갓 어른이 잘 사용했던 용자법였다.이 한자에서 '奈良'(나라), 吉(길)은 '길'이란 소리를 나타냄과 동시에 사마귀 혹크기가 좀 나아졌다는 '즐거움'이란 중의적 의미가 숨어있다.靑丹이란 글자 속에 숨은 속뜻은 푸르름하고 붉은 색(보랏빛의 혹 사마귀 색)을 의미하고 있다. 

 

 

天皇의 御製歌1首

 

<聞之御在左大臣長屋生의佐保宅肆宴御製>

 

본문:靑丹吉奈良乃山有黑木用造有室者雖居座不飽可聞(22자)

 

 

푸르던 길(丈)      :靑(푸르)丹(단)吉(길)

나어딘내            :奈(나)良(어딘)乃(내)

 모가지 사마귀           :山(모)有(가지)黑(사마괴)

나-무써면 달아 가지실  : 木(나무)用(써)造(맨달아)有(가지)室(실) 

 자다만지 살 잡을     :者(자)雖(다만지)居(살)座(좌)不(불)

배불러 안에 들어:  飽(배부르)可(안해)聞(들어)

 

 

해석

 푸르던 길이(丈)

나아졌내(좋아졌내)

모가지 사마귀

나-무써면(나이묵었으면/나이먹었으면) 달아 가졌을 

자다만져 살 잡을

(연회석 때문에)배불러 안에 들어(入) 

 

노래 배경은 佐保宅에서  肆(베푼)宴(연회석)에서 천황에 관한 노래이다.

 

해설

 

푸르던길(큰것이)나아졌네,모가지 사마귀(목 종양)

나이 먹으면 달아 가졌을 푸르고 붉은 색의 혹

자다 만졌고 살짝 잡을 종양 

배불러 방 안쪽으로 들어갔다

 

 

1..丹(붉은 단, 여기서는 음독 단(던)을 사용.

2.黑:사마괴(사마귀의 고어/黑子)(염)은 <검은 사마귀>뜻이다.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다.-키워드이다.  

 의학고서엔 사마귀를 黑으로 사용한 예를 보자.

"◈去黑點蝕惡肉和諸藥以點之《本草》

거먼 반점[黑點], 까만 사마귀[ ], 군살[蝕惡肉] 없애는데 여러가지 다른 약들과 섞어서 바른다[본초]."

3.雖(다만지)/다만/고어

4.造(<맨달아/만들다의 고어>

5.可(안해/아내의 고어)

6.室(실)

7.길:길丈 , 길이 장(고어) 重義法과 寓義法을 사용한 用字法이다. 예, 민화의 그림 속이나, 가구 장식에 박쥐 5마리가 그려진 그림, 장식은 五福을 상징하는 것이다.

福자와 蝠(박쥐 복)의 음독이 같은 점을 활용한 것이다. 즉 중의법과 우의법을 사용한 예이다.

 삼국사기 열전에 나타난 사마귀를 가진 강수를 살펴보자. 관상법에의하면 사마귀가 난 곳에 따라 천함과 기이함이 달리함을 나타낸 기록이 있다.

  역사서에 나타난 머리에 난 사마귀는 기이한 인물이 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아래 글이다.

 

  강수(强首)의 태몽과 성장
강수(强首)는 중원경 사량의 사람이다. 강수의 아버지는 석체(石諦) 나마이다. 강수의 어머니가 태몽을 꾸었는데 뿔이 있는 사람을 보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아이를 낳고 보니 머리 뒤쪽에 불거진 뼈가 있었다. 강수의 아버지는 강수를 데리고 당시 어질다는 현자라는 사람에게 가서 아이의 머리가 왜 이렇게 된 것입니까? 라고 묻자 현자는 복희씨는 소의 머리 모양을 하였고 여와 씨는 뱀의 몸을 가졌고 신농씨는 소의 머리 모양을 하였고 고요는 말의 입을 가졌고 옛 성현들은 다 같은 무리로서 그 골상도 보통 사람과 같지 않은 바가 있었다. 또한 현자가 말하기를 아이의 머리를 보면 사마귀가 있는데 관상 법에서는 얼굴의 사마귀는 좋지 않고 머리의 사마귀는 나쁘지 않다고 말하고 반드시 기이한 인물이 될 것이다.

 

발췌문헌: 참 만엽의 노래로/2002년/庭光散人 /아이올리브/

125대까지  일본 천황의 자료

 

 

 

2011.1.28 블로그 올림, 원해독 98.4월 금정 글돋제에서新19번

출처 : 전혀 다른 향가 및 만엽가
글쓴이 : 庭光散人글돋先生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