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 ... Writing/향가·만엽가·일본서기 해석

[스크랩] 鬱?心情 속 가을꽃을 보며 다닌 산(천년전 일본 속 한국인 노래말)

monocrop 2011. 9. 28. 18:10

 

01

02

03

일본 후지산의 가을 

사진출처:사랑정열그리운님

 

일본후지산의 가을

(다음:사랑정열그리운님자료) 


 

 

 

만엽가(고단사 번호 1568)

雲隱情

鬱悒出見

者春日

山者色付二家利

 

大伴家持秋歌4首中一首(대반가문의 가을에 대한 노래 4수 중 1수)

 

 

본문:雲隱情鬱悒出見者春日山者色付二家利(17자)

 

주제:구름도 숨듯 맑은날에 마음이 뛴다. 마을을 나가 꽃보며, 산꽃 물감 옷에 물들이며 가리라.

 

 

구름 숨 듯(맑은날)                          :雲(구롬)隱(숨)情(뜻)

막뛸 마음 ,고을(鄕(향))나가 본        :鬱(막딜일)(心/마음+邑고을)出(나가)見(본)

꽃 보메                                          :者(곳)春(봄)日(해)

산꽃 물감 붙혀도 가리                      :山(메)者(곳)色(믈감)付(부티)二(두) 家(가)利(리)

 

 

 

 

 

    구름 숨은 듯

     막뛸 마음

     마을 나가본

     꽃을 보며

     산꽃 물감 몸에

     물드리며 가리

 

 

 

문자풀이:(해설및 해독:글돋선생 金文培)

 

1.鬱(울)은 「막딜이다/막히다/고어)」로서 <막뛸>의 음차를 하였다.

2.悒(읍)의 뜻은 자유롭지못해하고 근심할 읍이다.

여기서는 파자해석을 통해서 해석을 시도했다.心+邑(읍):「悒(읍)은 근심할 (읍)」/여기서는 파자해석:心(마음)+ 邑(고올/고을/고어)=「마음+고울」 파자해석을 통해서 두글자를 쓸 것을 한자로서 압축해서 두 소리를 동시에 낼려는 의도가 숨어있다. 간혹 파자 해석이 사용되고 있다. 조선시대에도 민간들에 파자 사용의 경우있었다.결혼전 신랑지혜를 알기위한 서필을 통한 문답가로 사용된 경우가 남아 있었다.

3.고온/고온=고운(고어)과 동음.

「鬱悒」<울읍>이란 정격한문이 있다.=근심하여 가슴이 답답함.

정격한문으로 해석해보면:▶울읍/근심과답답함으로 出(나가다/나가)가 된다.

  ☞곳(者)와 동음 [곳, 꽃의 고어]을 사용하였다. 은유적인 한자로는 者(사람)인 자신을 가리키고 있다.

  ☞色의 뜻1 「믈감/물감/고어」뜻

 4. 이 노래는 '가을'의 노래 4수 중에 1수이다. 때문에  春이란 봄 글자가 나오니, 일본 만엽가 학자들이 가을이 아닌 봄에 관한 노래인데...하고 의구심을 주서에 달아 놓고, 해석 또한 春日(봄날)한문식 해독을 해 놓았다. 분명히 만엽가엔 대반가의 가을 노래 중 1수라고 기술해 놓았지만 춘일 때문에 헷갈리는 모양이다.

5.대반가는 일본 귀족가문이다. 만엽가는 귀족들과 같은 소위 먹물이 든 가문들의 노래들이다.

  그들의 정체성을 따져보면 언어란 수단으로 유추해 볼 때 영락없이 한국인과 닮았다.

기록

98년4.9일~11일 해독(新9번)

 

  1. 만엽가395번같은 용례 (新52/글돋주) [본문으로]
출처 : 전혀 다른 향가 및 만엽가
글쓴이 : 庭光散人글돋先生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