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 ... Writing/레이니의 일본어 어원 추적

[스크랩] 일본어로 `졸병`을 의미하는 `아시가루(足輕)`의 어원에 대해서

monocrop 2007. 10. 2. 03:23

 

'아시가루(足輕)'란 일본의 전국시대 직전인 가마쿠라 막부시대부터

일반화된 말로 쉽게 우리말로 풀자면 쫄때끼 쫄병 등으로 부를 수 있고

일본말로 하면 꼬붕이다. 현대일본어에도 사어가 되지 않고 간간이

농담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현역 언어이다.

 

그런데 이 말의 어원은 한국어 '발'과 '가루'의 합성어에서 연유한다.

우선 우리말 '발(足)'은 BC 3C에 지금의 남부 경상도인들이

'테우'라는 제주도의 뗏목식 배를 타고 일본열도에 건너 가서 야요이문명을

일으키고 그  당시에 사용하던 고대 한국어이자 현대 한국어로서

지금도 쓰이는 우리말이자 일본어이기도 한데 일본에서 후에 음운변화를 일으킨다.

 

즉 보통 우리말의 입술소리인 ㅂ음은 일본에서는 후일 ㅎ음이나 ㅍ음

심지어는 ㄱ음 ㅇ음으로 까지 변화된다.

 

대표적인 예가 '벌'이라는 말인데 이말은 일본에서는 음운변화되어

'벌<-개음절화-바라<하라(原)'로 정착된다 . 2차대전 때 일본군의

총사령부격인 대본영(大本營)은 '다이혼에이' 또는 '다이콘에이'로

발음되는데 이는 ㅂ음이 ㅎ 또는 ㄱ 또는 ㅋ음으로 변화하는 예이다.

 

우리말 '발'역시 마찬가지로일본에 건너가면서 초성 ㅂ음이 ㅎ음으로 전화되고

종성 ㄹ음은 개음절화(독립음절)하면서 ㅅ음으로 바뀌고

거기에 모음 'ㅣ'가 붙어서 '하시(はし)'가 된다.

 

우리말 '동무들'이 일본에 건너가서는 '도모다치(ともだち )'로 변한 것도

복수접미사 '들'의 종성 ㄹ이 'ㅅ,ㅈ.ㅊ'으로 변하여 모음을 붙여서 독립음절화하여

'들<다치'로 변화하는 실증적 언어학적 예이다.

 

이 '발'의 변화형인 '하시'가 음약화현상을 거쳐 후일 '아시'로 전화하여

'발<하시<아시'로 최종적으로 완성된다. 우리말로 '발'을 의미하는 '아시'는

위치에 따른 음운적 영향에 따라 '하시' 또는 '바시'로 상호 호환되어 사용한다.

 

이는 우리말 '벌(들=原)'이 일본에서 '하라'로 발음되거나 島原이라는 지명에서는

'시마바라'로 발음되고 藤原이라는 사람의 姓앞에서는 '후지와라'로 w음으로 발음되는

음운학적 이치와 같은 것이다.

 

그리고 '가루이(かるい

 일본어에서는 한자로 散(흩어질 산) 輕(가벼울 경)이라 쓰고

모두 훈독해서 '가루'라고 읽는다.

 

즉 散藥이라고 쓰고

'가루쿠스리' 또는 '가루야쿠'라고 거의 우리말 그대로 읽는다.

'가루약'이라는 소리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예들이 바로

일본어는 한국어의 방언이라는 반증이다.

즉 '먼지가루'할 때의 그 '가루'가 일본어가루이(かるい

 

즉 '아시가루(足輕)'란 발로 뛰어 다니는 종놈 내지는 쫄뼝을 의미하는 말이라는 것이다

'足(발=아시)輕(중무장을 하지 않고 먼지가루처럼 가볍게 여기 저기 발품파는)'

즉 쫄때기라는 말이다

 

그럼 우리말 '발'의 또 다른 말인 '다리(足)'는 일본어에 잔영을 남기는가?

 

당연하다 !!

 

백제멸망후 일본을 부흥한 '후지와라 후히토(藤原 不比等)'라는 인물이 있는데

그의 아비가 사택지적비로 유명한 백제인 사택지적의 일본이름인

'후지와라 가마타리(藤原 鎌足)'로 비정된다. 그는 삼국사기상에는 백제에서

죽은 것으로 되어있지만 일본서기상에서는 살아있는 것으로 되어있다.

 

바로 이 '가마타리'에서 보듯이 足을 '다리'로 훈독한다. 따라서 고대에 발과 다리

두 어휘가 모두 일본에 건너갔지만 후에 다리는 사어가 되어 퇴화되고 발이

사람의 신체와 橋를 나타내는 말로 일원화된 듯하다.

 

 

 

 

출처 : 슈뢰딩거의 고양이
글쓴이 : 레이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