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솔본 / 2005-02-05
우리 민족의 고대 집단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습니다. |
![]() | ||
![]() | ||
| ||
안녕하세요? 감간수힐라/감간수할라 라니 마치 강강수월레가 연상되네요. 춤추는 방법도 강강수월레와 매우 흡사한 것 같고... 강강수월레라는 명칭이 따로 밝혀진 바가 없다면 이것은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라 생각됩니다. | ||
![]() | ||
![]() | ||
![]() | ||
| ||
김수경/ 현재까지 강강수월래에 대한 해석은 전라도 방언 '강'이 원(圓)을 뜻하고 수월래는 순라, 즉 경계를 뜻하 는데 이순신이 고안한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해설이죠. 하지만 민속학적 관점에서 보자면 다소 무리한 해석이 아닐까 합니다. 그 보다는 원래 부터 전승되어 오던 춤을 이순신이 활용했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겠지요. 위에서 말한 전라도 방언 '감'이 둥근 원을 뜻한다면 이는 수메르어 '감'(gam)이 동사로는 구부리다, 명사로는 둥근것 (things roundish)이라고 할로란 박사의 연구에 나와 있습니다. 아주 오랜 상고시대의 공동기억의 흔적이겠지요. | ||
![]() | ||
![]() | ||
![]() | ||
| ||
혹시 "얄리얄리얄라셩" 도 수메르 방법으로 해석이 가능한지요? | ||
![]() | ||
![]() | ||
![]() | ||
| ||
구부리다,원 의미는 비슷. 정월대보름에 추는 강강수월래가 신에 제를 올릴때 추는 감간수할라와 시간이 지나면서 뭔가 바뀐 것 같지만 상통한다고 느낌이 듭니다. 강강수월래도 신과 연관이 있다는 느낌도... |
'Language & ... Writing > 솔본분석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시마노보루의 환단고기 주해를 보고.. (0) | 2010.09.04 |
---|---|
고대 이스라엘과 한민족의 친연성에 대해 (0) | 2010.09.04 |
수메르어의 아사달, 곰=아사의 쐐기문자 (0) | 2010.09.04 |
Tangur Agahan(檀君王儉)에 대해 (0) | 2009.07.01 |
[스크랩]선비어 탁발과 우문, 그리고 두만과 위만 (0) | 2009.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