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History/홍원탁의 백제왜

[스크랩] 9. 백제왜, 백제 사람들이 이룩한 후기 고분시대 문화

monocrop 2007. 1. 4. 16:01

9. 소가 대신을 포함해 모두들 백제 옷을 입고…

   백제 사람들이 이룩한 후기 고분시대 문화


Kidder는 다카마쓰즈카(高松塚)의 벽화를 보고 “입고 있는 옷을 보면 명백히 한국 여자들이 그려져 있는 것이다”고 말했다. 부상략기(扶桑略記)에 의하면, 593년 1월15일, 법흥사(法興寺) 사탑 초석에 사리를 안치하는 행사를 할 때, 소가(蘇我) 대신을 비롯해 100여 명의 사람들이 모두 『백제』 옷을 입고 나타나, 보는 이들을 매우 즐겁게 해줬다. Kidder는 스슌(崇峻) 천황의 능으로 추정되는 후지노키 고분에서 나온 유물들이 백제 유물, 특히 무령왕릉에서 나온 부장품들과 매우 유사하며, 그 유물 대부분이 실제로 백제에서 왔을 것이라고 믿는다. Farris는 고분시대 전반에 걸쳐 한반도로부터 일본열도에 유입된 각종 도구와 물자, 생산 기술, 종교, 통치조직 등을 요약하면서 한반도 사람들이 고분 문화를 형성하는데 원천적인 씨앗 역할을 했다고 말한다. Kiley는 우지-가바네(氏姓)와 베(部)제도가 모두 백제로부터 도입된 것이라고 말한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 .../편집자 주




홍원탁(서울대 교수)



가야(가락)와 백제 : 두 개의 다른 이주 물결의 주역들

김기웅(1986)은, 언덕 위에 위치한 수혈식 석실의 초기 고분들은 3세기 혹은 4세기의 가야 고분과 일치하지만, 평지에 위치한 횡혈식 석실의 후기 고분들은 백제 고분과 일치한다고 말한다. 뿐만 아니라, 초기 고분에서 발굴된 장식품들은 가야 고분에서 발견되는 부장품들과 유사하지만, 후기 고분에서 발굴된 장식품들은 백제 고분에서 발견되는 것과 흡사하다고 말한다. 또, 한반도에서 발굴된 가장 오래된 철제 등자는 3-4세기 것으로 추정되지만, 일본열도에서 발굴된 가장 오래된 등자는 대부분 5-6세기 것이라 한다. 1


Oka Masao에 의하면, 알타이어 계통의 친족을 의미하는 (퉁구스 방언의 친족 무리를 의미하는 “샤라”에 어원을 두고 있는) “카라”라는 낱말은 야요이 시대가 시작되면서 일본열도에 도입됐고, (한국어의 “친족 무리”를 뜻하는 “울,” 퉁구스어의 “자손”을 뜻하는 “우루”를 의미하는) 또 다른 낱말인 “우지”는 4세기 알타이 왕족문화와 함께 도입됐다. Masao는 한반도로부터 명백히 다른 2개의 이주 물결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2



3세기 말 편찬된 위서 동이전은, 변한 12개 나라 남녀들이 왜인들과 매우 가깝게 지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문신을 한다고 말한다.3 그러나 7세기 초 편찬된 양서(梁書)는 백제가 야마도와 가깝기 때문에 많은 백제 사람들이 문신을 한다고 말한다. 4 일본열도에 600년 야요이 시대를 전개한 게 변한(가야)사람들이고, 야마도 왕국을 세워 300년 후기 고분시대를 전개한 게 백제 사람들이라는 사실은 중국 사서에서 이렇듯 미묘한 표현상의 차이를 보여준다.


키다바다케 치카후사(1293-1354)는, 이른바 야마도 왕국 남북조시대 때(1331-1392) 남조의 정치적. 사상적 지도자였다. 그는 1343년 역사책을 한 권 저술했는데, 오오진(應神) 조를 보면, “옛날 일본 사람들은 삼한 사람들과 같았다”고 주장한 책들은 모두 간무(桓武, 781-806)때 소각됐다고 기록했다. 5


현대 역사가들은 키다바다케가 이런 얘기를 왜 특별히 오오진 조에서 말했을까 관심을 갖고, 또 스스로 왜 그랬을까 자기 자신에게 물어봐야 마땅할 것이다.



복식의 급격한 변화

후기 고분시대에 들어와, 복식에 커다란 변화가 생겼다.

일본서기에 묘사된 아마데라스와 삼국사기에 묘사된 고이왕처럼, 상당히 많은 수의 (남자 형상) 하니와가 바지-저고리를 입고 있다. 6 고사기와 일본서기는 오오진 치세 때 백제로부터 재단사가 도래했다고 기록한다. 7 이춘계(1991: 741)는 중국 역사책들이 초기(야요이 때)엔 한반도와 일본열도 복식의 상이점을 기록하고, 후기(고분시대)엔 양자의 유사성을 기록한 사실에 주목했다.

 


북사(北史)는 [후기 고분시대에] 일본열도의 남녀가 치마와 저고리를 입었는데, 남자 저고리의 소매가 매우 작고, 여자 치마는 가장자리로 (주름) 선이 둘려져 있다고 말한다. 8 여기서 북사는 “예전엔” 바느질을 하지 않은 가로 폭의 천을 그대로 연결해 입었다고 특별히 언급했다. 정말 위서 동이전은 [야요이] 왜인들이, 남자는 바느질도 안한 가로 폭의 천을 단순히 묶어 연결시킨 옷을 입고, 여자는 (홑이불 모양) 넓은 천 한복판에 구멍을 뚫고 머리를 넣어 입었다고 기록했다. 9

 

 

다카마쓰즈카(高松塚)고분 벽화를 보면, 여자들이 길고 테 두른 저고리와 주름 잡은 치마를 입고 있다. Kidder(1972)는 “이 여자들이 입은 옷을 보면 명백히 한국 여자들이 그려져 있는 것이다”고 말한다.


북사, 주서(周書), 수서(隋書)에 의하면, 백제 남자들 복장은 고구려 남자들 복장과 흡사해, 모두 양쪽에 새털을 꽂아 올린 모자를 쓰고 있고, 백제 여자들은 치마 위에 넓은 소매가 달린 웃 저고리를 입었다.


주서는 백제 처녀들은 뒤로 머리를 땋아 묶어 올리는데 한 다발은 장식으로 늘어뜨렸으나, 부인들은 2개의 다발로 묶어 올렸다고 말한다. 북서도 백제 처녀들은 머리를 땋아 뒤로 늘어뜨렸으나, 부인들은 2갈래로 머리를 엮어 틀어 올렸다고 말한다. 수서에서도 유사하게 기록해, 백제 처녀들은 머리를 땋아 뒤로 늘어뜨렸으며, 부인들은 머리를 2갈래로 나눠 위로 틀어 올렸다고 말한다. 그런데 북사나 수서나 고구려 여인들이 머리를 땋아 늘어뜨렸다는 말은 하지 않는다. 북사에 “뒤로 늘어뜨렸다”는 서술은 특이하게 백제 여인들에게만 쓰였다. 우리가 다카마쓰즈카 고분 벽화에 나온 여인들 머리 모양을 보면, 그녀들이 수서와 주서에 묘사돼 있는 백제 여인들의 머리 모양을 하고 있음이 명백한 것이다. 그녀들 머리 모양은 5세기 고구려 고분에 나타나 있는 시녀들 머리 모양과는 크게 차이가 난다. 10


일본서기에 의하면, 593년 1월15일, 법흥사(法興寺) 사탑 초석 속에 부처님 사리를 안치했다. 부상략기(扶桑略記)의 스이코(推古) 조에는 당시 소가 우마코(蘇我馬子) 대신을 비롯해 100여 명의 사람들이 모두 백제 옷을 입고 나타나, 보는 이들이 매우 기뻐했다는 기록이 있다. 11 쇼소인(正倉院) 연구부장 세키네 신류는 옛날 복식 60벌을 분석하고 나서 고대 한국과 일본의 복식은 똑같다(渾然一體)고 말했다. 12



후지노키(藤ノ木) 석관

후지노키 고분의 석관은 1985년 말~1986년 초 사이에 발굴됐는데, 개봉은 1988년 말에야 이뤄졌다. 사체는 20-30대로 보이는 (이장을 한) 남자 1명과 (연령 미상) 여자 1명으로 확인됐다. (구슬들은 덩어리로 세어서) 약 10,000여 점의 유물들이 나왔는데, 금동관, 물고기 모양의 장식물이 달린 2쌍의 금동 신발, 2쌍의 두텁게 도금한 동 귀걸이, 2개의 은장도가 안에 부착된 청동 혁대, 416개의 금 펜던트, 반 원통형으로 된 한 쌍의 금동 발 보호대, 4개의 동경, 5개의 칼, 회갈색을 띤 47개의 의례용 경질 토기 등이 포함돼 있었다. 아울러 상당히 많은 양의 마구류가 석관 뒤의 석실바닥에 쌓여있었다. 또 1000개 정도의 철갑 조각과 철 화살, 화살촉이 나왔다. 13

 

 

 

청동 거울 한 개엔 “동경 소유자의 후손이 번성하기를”이라는 의미의 3개 글자(宜子孫)가 새겨져 있는데, (523년 사망한) 백제 무령왕릉에서 나온 동경과 똑같다. Kidder는, “일본에서 발견된 대부분의 금동관은 한반도에서 만든 것”이라고 말한다. Kidder는 후지노키 고분에서 나온 유물들이 백제 유물, 특히 무령왕릉에서 나온 부장품들과 매우 유사한데, 그들 유물 대부분이 실제로 백제에서 왔을 것이라고 믿는다.

 

 

Kidder(1989)는 후지노키 고분이, (626년 사망한) 소가 우마코에게 암살당한 성덕태자의 삼촌인 스슌(崇峻, 587-92)의 능인데, 도쿠가와 혹은 명치시대 때 천황릉이 아닌 것으로 분류를 잘못해 본의 아니게 대중에게 공개된 것이라고 말한다. 호류지(法隆寺)의 부속사찰 소겐지(宗源寺)의 오래된 나무함 속에서 엔포 7년(延寶, 1679)의 문서가 발견됐는데, 이 둔덕을 스슌 천황의 능산(陵山)이라고 명확히 언급했다. Kidder는 그 둔덕이 스슌의 능이라고 말하는 문서들이 1872년까지 발견됐으며, 어릉(御陵)이라는 용어는 1940년대 초까지 쓰였다고 말한다.



한반도에서 건너온 문물의 항목들

Farris(1998:68-70)는 고분시대 전반에 걸쳐 한반도로부터 일본열도에 유입된 각종 도구와 물자, 생산 기술, 종교, 정치제도 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첫째, 본래 한반도에서 만들어져 원형 그대로 일본열도에 유입된 것으로, 철괴, 철제품을 만드는 기술, 갑주, 철제 화덕, 청동 방울, 조정에서 사용하는 각종 칭호와 성씨들, 지방제도, 농경지 측량법, 산성(山城) 축조 기술 등이 있다.


두 번째로, 본래 중국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한반도에서 변형됐거나 개량돼 일본열도로 건너온 것으로, 환두대도(둥근 고리가 손잡이 끝에 달린 칼), U자형 쇳날을 둘러 씌운 농기구, 저수지와 수로를 파는 기술, 경질 토기, 비단 짜는 법, 생산-서비스 단위(部, 베), 법률 제도, 문자 등이 있다. 14


세 번째는, 거의 변형되지 않은 채 중국 원형 그대로 한반도를 통해 일본열도에 유입된 것으로, 비늘 모양의 철편 갑옷, 마구류, 돌을 깎아 맞추는 방법, 분묘 만드는 방법, 금은 보석, 불교, 쇠뇌 등이 있다.


Farris (1998-70)는 “이상 3가지의 이전 형태를 모두 합쳐보면 한반도 사람들이 일본열도의 고분 문화를 형성하는데 원천적인 씨앗 역할을 했다”고 말한다



부록 : 우지-가바네(氏姓) 제도와 베(部) 조직

주서 이역전의 백제전에 의하면, 백제 조정은 궁중 내부 업무를 보는 내관 12개 부와 조정의 일반 행정을 담당하는 외관 10개 부를 갖고 있었다.


내관 12개 부는, 왕의 명령을 받아 출납을 관장하는 전내부, 곡식을 관장하는 곡부, 육류를 다루는 육부, 궁내의 창고 업무를 담당하는 내략부, 궁 밖의 창고를 관리하는 외략부, 왕실의 말을 관리하는 마부, 칼 등 무기를 제조하는 도부, 불교 사찰을 관리하는 공덕부, 약을 만들고 치료를 담당하는 약부, 토목 공사를 관장하는 목부, 예의와 의전 관계를 담당하는 법부, 후궁들을 뒷바라지하는 후궁부 등이다.


외관 10개 부는, 군사 업무를 담당하는 사군부, 교육과 의전 관계를 담당하는 사도부, 토목과 재정 경제를 담당하는 사공부, 형벌 관계를 담당하는 사구부, 호구를 파악하는 점구부, 외교를 담당하는 객부, 관리의 인사 행정을 관장하는 외사부, 직물을 제조하는 주부, 천문과 점술을 담당하는 일관부, 상공업을 관장하는 도시부 등이다.15


야마도 왕국은 우지-가바네(氏姓)라는 정치-사회 조직을 기반으로 세워졌다. 야마도 지배 씨족들은, 확대된 유사-씨족 단위로 많은 수의 “우지(氏)”라고 부르는 집단들을 이룩했다. 그들 각 씨족의 거주지 혹은 직종을 지칭하는 명칭 자체가 각 씨족의 명칭이 됐다.


“베”는 가바네(姓) 칭호를 부여받은 우지 우두머리 지휘 아래 야마도 조정에 봉사하는 세습적 직업 집단이다. 가바네 칭호는 각 씨족 수장의 야마토 조정 내 세습적 지위를 나타낸다. 우지나 베나 모두 순수한 혈연관계만으로 뭉친 집단은 아니다. 혈연관계가 없는 구성원도 포함해서 실용적으로 구성된 기능적 집단으로, 확대된 의미의 “집안” 같은 인간적 울타리를 뜻한다.


우지가미(氏上)라고 부르는 가바네 칭호를 가진 씨족의 수장들은, 베 구성원의 통솔을 위임받아, 신생 왕국의 통치자를 위해, 국가 운영을 위한 온갖 생산과 행정 활동을 수행하며 조정에 물자와 서비스를 제공했다.


베(部)라는 집단은, 농사를 짓고, 관개-수리 사업을 통해 농경지를 확장하고, 물고기를 잡고, 직물을 짜고, 각종 토기를 만들고, 점을 치고, 수공예품을 만들고, 철제 무기를 만들었다. 각 우지는 상이한 역할과 임무를 부여받았다. 16


Inoue(1977)는, “우지”라는 낱말은 부계 집단을 뜻하는, 한국어의 “울,” 몽골어의 “우룩”에서 유래했고, “부(部)”라는 한자의 사용은 백제 조정 12개 부 제도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17


Kiley(1983)은 좀 더 구체적이다 : “정치적 관할을 베로 나눈 것이나 마찬가지로, 가바네 칭호의 사용도 백제로부터 전해져 채택된 것이다. 베라는 조직 자체가 우지라는 제도의 출발점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다이카(大化) 가이신(改新) 이전 시기에 백성을 통제하는 근본적 수단은 베 조직이었다. 베의 발전은 백제의 베 제도에 자극과 격려를 받은 것이다. 베 제도는 국왕의 가사를 관장하는 내관과 조정의 일반 국사를 관장하는 외관으로 구분돼 각기 창고-회계 등 재정부서가 있었다. 이 구분은 또 하나의 백제 제도의 모방이었다. 내관과 외관을 구분함으로써, 국정 운영을 위한 순수한 정치 부서의 발전 여지를 제공했다.”18


베는 백제의 부 제도를 본받아, 백제로부터 도래한 사람들이 최초로 조직하기 시작한 서비스 집단이었다. 베는 일부 왕실에 소속된 것도 있었지만, 대부분 각 우지에 소속돼 있었다. 베를 관할하는 우지 수장들은 야마도 조정에서 핵심적 지위를 차지했다. 우지라는 존재는 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키 위한 수단이었다. 우지의 저변을 이루는 베는, 야마도 왕조가 이름만의 최고 지배자로 그치는 게 아니라, 실제로 절대적인 통치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하는 필수 불가결한 조직이었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유랴쿠는 모든 하다 씨족을 취합해 하다의 주공(秦酒公)에게 줬다. 주공은 얼마 지나지 안아, 180여 종의 뛰어난 베 기술자들의 도움을 받아, 고급 비단을 대궐 마당을 다 채울 정도로 만들어 쌓아놨다. 유랴쿠는 하다 씨족을 전국 각 지역에 분산 배치해 세금으로 각종 물자를 생산, 바치게 했다. 19


하다 씨족과 아야 씨족은, 시조 오오진 치세 때, 백제로부터 엄청난 수가 한꺼번에 떼를 지어 건너온 양대 씨족이다. 하다와 아야 씨족은, 양잠, 직조, 철 제품 생산, 농지 개간 뿐 아니라, 각종 행정 업무, 대외적 외교 활동, 정부 창고 관리, 회계장부 처리, 세금 징수, 정부 지출 등등 업무를 부여받아 수행했다. 이 두 씨족의 활약은 야마도 조정이 국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했다.



일본서기 기록을 보면 하츠세는 사냥을 상당히 즐겼던 것 같다. [463년 어느 날] 하츠세는 요시노궁(宮)으로 행차해, 그 인근 지역에서 수렵을 즐겼다. 그날도 여러 개의 산을 오르고, 넓은 들을 달리며 수많은 새와 짐승들을 잡았다. 돌아오는 길에 냇가에서 쉬면서 군신들에게, “사냥의 즐거움은 조리사가 육회를 만들게 하는데 있다. 누가 한번 스스로 회를 떠보지 않겠는가?”라고 물었다. 그러자 군신들은 머뭇거리면서 대답하지 못했다. 하츠세는 크게 노해 마부를 베어 죽였다. 이 사건을 일어나자, 왕후는 주방에서 육회를 잘 만드는 자신의 조리인 3인을 왕에게 바쳐 사냥한 짐승의 고기를 조리하는 시시히토(肉人) 베를 만들도록 했다. 그후, 오호야마도(大倭) 국조 아고코가 사람 하나를 보내 시시히토 베에 추가시켰다. 20 그러자 전국의 오미, 무라지, 반조, 국조 들 역시 사람들을 보내 추가시켰다.


이 기록을 보면, (왕실 직속의) 베라는 것이 단 3명의 사람을 데리고도 만들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야마도 왕국의 베(部) 제도는, 백제의 부(部) 제도를, 격식을 차리지 않고, 임기응변적으로, 아주 융통성 있고 유연한 형태로 모방한 것이다. 관료화된 백제의 부 조직에 비교해보면, 거의 전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신축성 있게 그때그때 발생하는 필요에 따라 조직돼, 부여받은 특정 활동에 종사했다. 상당히 중요한 사실의 기록이다. 21


Ōbayashi(1985)는, “베 제도 성숙의 중요한 요인은, 알타이 초원 문화에서 유래한 새로운 친족 개념의 일본열도 유입이었다. 이 과정은 부여-고구려 문화의 한반도 남부 진입과 함께 진행된 것이다. 5세기 고분들에서 발굴된 번쩍이는 금 장식들은 한반도를 통한 알타이 초원 왕족문화의 (일본열도) 상륙을 시사한다. 고구려-백제와 유사한 고대 일본의 왕실 중심 설화와 의식들은, 동일한 연결고리의 다른 하나의 연결점을 구성하는 것이다”고 말한다.



<중앙집권화>

일단 최고 통치권자로서의 야마도 왕조의 권위가 공고해지고, 중앙과 지방의 토착세력이 왕권에 도전할 수 없는 존재가 되자, 베를 소유하며 관리하는 씨족의 수장이라는 특정 세습권력이, 중앙집권의 강화를 저해하는, 가장 눈에 거슬리는 장애물로 보이기 시작했다.


관료적 중앙집권화를 추구한 중앙 정부의 핵심 지배층은, 645년 실시된 다이카(大化) 대변혁의 주도권을 장악했다. 가이신(改新)은, 대부분의 베와 사유민을, 국가의 백성 즉 공민(公民)의 존재로 만들려고 했다. 정부 행정을 중앙집권적으로 재정비하고, 대규모 씨족의 수장이 장악해 온 농민과 부민들을, 조정의 직접 관할 아래 두려고 했다. 우지 집단은 점차로, 씨족 수장이 아니라, 중앙집권적 관료제도 하의 높은 관직을 가진 수장 밑에, 확대된 인간적 울타리 속에 한 개의 가족을 이루는 형태로 그 존재를 유지케 됐다.


647년, 7색(色) 13계(階)의 관위(冠位)제도를 제정했다. 조정 내 지위를 나타내는 세습적인 가바네 칭호는 처음부터 씨족과 연계돼 있었다. 하지만 관위는 개개인에게 줘 관료적 귀족 질서를 수립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새로 제정된 관위는 가바네를 대체하지 못하고, 추가적으로 병행됐다. 관위 제도는 일찌기 스이코 여왕 재위 때 처음 도입됐고, 후에 덴지 왕 재위 기간 중 본격적으로 확대 수정됐다. 그러나 이 관위제도를 진정한 의미의 율령제라고 볼 수는 없고, 그저 고구려와 백제의 계급제도를 모방한 제도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2-11 (2005. 6. 18)

정리: 강현사 박사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각주]


1. 김기웅(1986: 76, 88-9, 96-97, 99-101, 105-106, 112, 120-1, 129) 참조.

2. Ōbayash (1985: 13-14)

3. 三國志 魏書 烏丸鮮卑東夷傳 弁辰傳... 男女近倭 亦文身

4. 梁書 列傳 東夷 百濟... 其國近倭 頗有文身者

5. 應神... 昔日本ハ三韓ト同種ナリト云事ノアリシカノ書ヲ桓武ノ御代ニヤキステラレシナリ 六地藏寺本, 北畠親房 神皇正統記(Tokyo: Kyuko), p. 28.


6. 天照大神... 縛裳爲袴(NI: 105) 古尓王... 王服紫大袖袍 靑錦袴 金花飾烏羅冠(S2: 29-30)

7. 應神 十四年 百濟王貢縫衣工 女... 是今來目衣縫之始祖也(NI: 371) 衣縫猪手漢人刀良等祖 將居此處(F: 290) 又貢 上手人韓鍛名卓素 亦吳服西素(K: 248)


8. 北史 卷九十四 列傳 第八十二 倭國... 無城郭... 其服飾 男子衣裙襦 其袖微小 履如屨形 漆其上 繫之脚... 婦人 束髮於後 亦衣裙襦 裳皆有襈… 故時 衣橫幅 結束相連而無縫


9. 三國志 魏書 東夷傳 倭... 其衣橫幅 但結束相連 略無縫 婦人被髮屈紒 作衣如單被 窄其中央 貫頭衣之

이시야마 아키라(KEJ: 1.329)는 “지금의 가가와 현(縣)에서 발굴된 야요이 시대 도타쿠(청동 방울 형태 의례용 물건)에 나타난 사람 형상 판화엔 일종의 판초 모양의 옷을 입은 남자들이 묘사돼 있다”고 말한다. 판초는 남미 원주민들이 입는 한 장의 천으로 된 외투를 말한다.


10. 周書 卷四十九 列傳 第四十一 異域上 百濟… 其衣服 男子 畧同於高麗… 其冠兩廂加翅… 婦人衣似袍 而袖微大 在室者 編髮盤於首 後垂一道爲飾 出嫁者 乃分爲兩道焉

北史 卷九十四 列傳 第八十二 百濟… 其飮食衣服 與高麗略同… 女辮髮垂後 已出嫁 則分爲兩道 盤於頭上

隋書 卷八十一 列傳 第四十六 東夷 百濟… 其衣服與高麗略同… 女辮髮垂後 已出嫁則分爲兩道 盤於頭上


11. 推古 元年春正月 以佛舍利 置 于法興寺刹柱礎中... 建刹柱(NII: 173 )

扶桑略記 推古天皇 元年正月 蘇我大臣馬子宿依合戰願 於飛鳥地建法興寺 立刹柱日 嶋大臣幷百餘人 皆着百濟服 觀者悉悅(13세기 초 延曆寺 皇圓 편찬)


12. 이춘계(1991: 742-5)

13. Kidder(1989) 참조.

14. Farris(1998: 82)에 의하면, 중국 대륙에서는 논 농사를 위한 인공 저수지가 그리 중요치 않았다. 왜냐하면 강물만 끌어들여서도 1년 내내 기장(조, 수수) 밭과 쌀 논에 물을 충분히 댈 수 있었기 때문이다.


15. 周書 卷四十九 列傳 第四十一 異域上 百濟 官無常員 各有部司 分掌衆務 內官有前內部 穀部 肉部 內掠部 外掠部 馬部 刀部 功德部 藥部 木部 法部 後官部 外官有司軍部 司徒部 司空部 司寇部 點口部 客部 外舍部 綢部 日官部 都市部 都下有萬家 分爲五部 曰上部 前部 中部 下部 後部 統兵五百人 五方各有方領一人 以達率爲之


Hsiao(1978, 38)에 의하면, 중국의 관료적 중앙집권 제국을 대표하는 진-한 조정의 여러 고위 관직들은 애초에 궁중의 필요에서 형성된 것이다. 재상이란 지위도 왕족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는 우두머리 자리에서 유래한 것이며, 소위 9대신들이라는 존재도 왕족의 가사를 돌보던 요원들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16 베는 중앙과 지방정부의 출납.회계처리 같은 특수 행정 서비스를 야마도 조정에 제공했다. Hirano (1977)에 의하면, “일본의 통일국가는 ‘베’라는 공동체 조직을 바탕으로 5세기 후반에 형성된 것이다. 베 조직은 원시 일본 국가의 기본적 사회-정치 구조를 대표한다. 정상엔, 강력한 씨족 수장들의 지지와 충성을 확보한, 야마도 최고 통치자가 군림하고, 그 하부에서는 수많은 베 서비스 집단이 노동력과 물자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6세기에 들어와 전통적 지방 씨족의 베를 환수해 왕실 직속의 농업 베가 만들어졌다. 왕실에 예속된 반조(伴造)나 우지가미는 모두 우지비도(氏人)와 베민(部民, 部曲)들을 이끌고 생산 활동을 했다. 반조는, 조정의 관리로서, 도모(伴)라고 하는 세습적 집단과 도모베(品部)라는 직업 베민을 거느리고, 제사 등 특정임무를 수행했다. 지방에서는, 토착 세력가 혹은 조정에서 파견된 사람이 국조(國造)가 돼 우지를 구성했다


17 Farris (1998, 101)는, 츠다 소키치가 이미 “베”라는 낱말은 백제 말에서 유래한 것이라는 주장을 했다고 말한다. 언어학적으로 어원을 따져 생각한다면, 인간적인 “울(욼)” 혹은 “우리” 속에 “무리(衆)”를 지어 함께 생활을 함으로써 “우리(我)”라는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는 집단이 바로 “우지” 혹은 “우디”인 것이다.


18 가바네는 흔히 씨족 성의 끝부분을 구성한다. (가바네가 없는 씨족의 성도 있다.) Barnes(1988, 29) 는, “몇 개의 대표적 가바네 명칭은 한국에서 유래한 것이며, 이들은 아마 조직적으로 위계를 정하는 가바네 발상을 비롯한 다른 여러 혁신적 발상이 도입된 5세기 초 전파됐을 가능성이 크다. 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가바네 지위를 보유한 우지 수장들 자신이 한국 사람 후손인 것이다.” Aoki (1974, 41)에 의하면, “호무다(오오진)는 자신의 부하들을 날로 커가는 삼각주의 촌장들 가운데서 뽑았는데, 호무다는 그들에게 한국 말로 촌장을 의미하는 분명한 한국어원을 가진 무라지(連)라는 명칭을 부여했다.” 무라지 지위는 주요 비(非)왕족 우지 우두머리를 위해 만든 것이고, 그들 직종의 명칭을 사용했다. 오미 지위는 왕족 중 좀 낮은 위치의 사람들을 위해 만든 것으로, 주로 해당 지역 명칭을 사용한다. 대신(大臣)-대련(大連) 등은 최고위 대신직이었다.


19. 雄略 十五年 秦民分散臣連等 各隨欲駈使 勿委秦造 由是 秦造酒甚以爲憂 而仕於天皇 天皇愛寵之 詔聚秦民 賜於秦酒公 公仍領率百八十種勝 奉獻庸調絹縑 充積朝庭 因賜姓曰禹豆麻佐 一云 禹豆母利麻佐 皆盈積之貌也 雄略 十六年 秋七月 詔 宜桑國縣殖桑 又散遷秦民 使獻庸調 上495


20. 雄略 二年... 命虞人縱獵... 獮什七八 每獵大獲 鳥獸將盡 遂旋憩乎林泉... 問群臣曰 獵場之樂 使膳夫割鮮 何與自割 群臣忽莫能對 於是 天皇大怒 拔刀斬御者大津馬飼 是日 車駕至自吉野宮 國內居民 咸皆振怖 由是... 皇太后知斯詔情 奉慰天皇曰 群臣不悟陛下因遊獵場 置肉人部... 以我爲初 膳臣長野 能作肉膾 願以此貢... 皇太后觀天皇悅... 曰 我之廚人... 以此二人 請將加貢 爲肉人部 自玆以後 大倭國造吾子籠宿禰 貢狹穗子島別 爲肉人部 臣連伴造國造又隨續貢 上463-465


21. 此之御世 定賜海部 山部 山守部 伊勢部也 亦作劒池 古248

應神 五年 秋八月 令諸國 定海人及山守部 上365

394년 가을 8월, 호무다는 영을 내려, 아마 베, 야마 베(山部), 야마모리 베, 이세 베(伊勢部)를 정해서 만들도록 했다. 특히, 모든 고을마다, 고기잡이를 담당하는 아마(海人) 베와 사냥과 채취를 담당하는 야마모리(山守) 베를 만들도록 명했다.

雄略 二年 是月 置史戶 河上舍人部 上465

[463년] 후미히토(史戶) 베와 카하카미의 토네리(舍人) 베를 설치했다.

See Hirano Kunio(KEJ, 1983: 147).




Paekche Clothes

the seminal role of the Paekche people

in the formation of the Late Tomb culture


Wontack Hong

Professor, Seoul University

Kaya (Karak) vs. Paekche


According to Kim Ki-Woong (1986), the fact that the early tombs were located on hilltops and had vertical-pit-style chambers suggests that they correspond to the third or fourth century Kaya (Karak) tombs, while the fact that the late tombs were located on level plains and had horizontal stone chambers suggests that they correspond to Paekche tombs. Furthermore, the ornaments found in the early tombs are similar to those found in Kaya tombs, while the ornaments found in the late tombs are similar to those found in Paekche tombs. According to Kim, the oldest iron stirrups excavated in Korea are mostly dated to the third and fourth centuries, while the oldest stirrups discovered on the Japanese islands are mostly dated to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1


According to Oka Masao, the Altaic kin term kara (having its cognates in the Tungus dialect xala implying kin group) was introduced to the Japanese islands at the beginning of the Yayoi period, and then another term uji (implying “kin group” ul in Korean, and “descendants” uru in Tungus) was introduced with the Altaic royal culture in the fourth century. Oka apparently postulates two different waves of people from the Korean peninsula. 2


According to the Dongyi-zhuan of Wei-shu that was compiled in the late third century, since the men and women of twelve Pyun-han states were very close to Wa (people), many of them had tattoos.3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Liang-shu that was compiled in the early seventh century, since the Paekche State was close to the Yamato (State), there were many Paekche people who had tattoos.4 The fact that it was the Pyun-han (Kaya) people who had commenced the 600-year Yayoi era on the Japanese islands, and that it was the Paekche people who had established the Yamato kingdom and commenced the 300-year (Late) Tomb era, came to be recorded in the Chinese chronicles with such a subtle differentiation of expression.

Kitabatake Chikahusa (1293-1354) was a political and ideological leader of the southern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the so-called South-North dynasty of the Yamato kingdom (1331-92). He wrote a historical chronicle in 1343, and in the Oujin (Homuda) section, he stated that those chronicles claiming that “the people of old Japan were the same as the Three Han people” were all burnt during the reign of Kanmu (781-806).5 Modern historians may well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Kitabatake made such a statement specifically in the Oujin section, and then might well ask themselves why.


Drastic Changes in Costumes

There occurred drastic changes in costumes by the Late Tomb Period. A large proportion of the haniwa male figures are dressed in jackets and trousers, as depicted in Nihongi for Amatersu and in Samguk-sagi for King Koi.6 Kojiki and Nihongi record the arrival of tailors from Paekche during the reign of Oujin. 7 Lee (1991: 741) observes that the Chinese chronicles record differences between the clothing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at of the Japanese islands for the early [Yayoi] period, but record similarity between them for the later [Kofun] period.








8 Indeed, the Dongyi-zhuan has recorded that the clothing of [Yayoi] Wa people is like an unlined coverlet and is worn by slipping the head through an opening in the center, and that their clothing is fastened around the body with very little sewing.9


The paintings in the Takamatsuzuka tomb show the women wearing long, lined jackets and pleated skirts. Kidder (1972) states that: “The costumes of the women make it abundantly clear that Korean women are shown here.”


According to the Bei-shi, Zhou-shu, and Sui-shu, the attire of Paekche men was very similar to that of Koguryeo men, both wearing caps with feathers on both sides. The Paekche ladies wore jackets with ample sleeves over the skirts. Zhou-shu records that unmarried Paekche women wore their hair in plaits gathered at the back but left a tress of hair hanging as a decoration, while the married women formed two plaited tresses of hair which were turned up. Bei-shi echoes that unmarried Paekche women twisted their hair into a chignon and let it hang at the back but the married ones twisted their hair upward in two parts. Sui-shu similarly records that unmarried Paekche women twisted their hair into a chignon and let it hang at the back while the married ones separated their hair into two parts and placed them on head. Neither Bei-shi nor Sui-shu mentions a chignon for Koguryeo women. The description of “hanging at the back” in Bei-shi is specifically used for Paekche women. If we examine the hair-styles of the ladies in the Takamatsuzuka paintings, it is clear that they are the hair-styles of Paekche ladies described in Sui-shu and Zhou-shu. Their hair-styles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ladies-in-waiting appearing in the fifth-century Koguryeo Tombs.10


Nihongi records that on January 15, 593, relics of Buddha were deposited in the foundation stone of the pillar of a pagoda at Hōkōji; and the Suiko section of Fusō-ryakuki (compiled by the monk Kōen during the early thirteenth century) records that, on that occasion, some one hundred people, including the Great Minister Soga Umako, had appeared wearing Paekche clothes, and the spectators were very


11 The chief of the Research Division of Shōsō-in, Sekine Sinryu, examined 60 pieces of ancient clothing and concluded that the ancient clothing of Korea and that of Japan were exactly identical.12



The Fujinoki Sarcophagus

The stone chamber of the Fujinoki Tomb was excavated in late 1985 and early 1986, and the sarcophagus itself was opened in late 1988. The human remains were identified as a male adult between 20 and 30 years of age (of his secondary burial) and a woman. About 10,000 items (counting the beads in lumps) including a gilt-bronze crown, two pairs of gilt-bronze shoes with dangling fish ornaments, two pair of heavily gold-plated bronze earrings, a bronze belt with two silver daggers stuck inside, 416 gold pendants, a pair of gilt-bronze half-cylindrical leg guard pieces, 4 bronze mirrors, 5 swords, and 47 pieces of the brownish-grey ceremonial Sue ware, were recovered. A large quantity of horse-trappings was piled on the chamber floor behind the sarcophagus. The tomb has also yielded about one thousand slats of iron armor, iron arrows, and arrowheads (see Kidder, 1989).


One mirror has inscriptions of three characters (yi zi sun) implying “May the owner have an abundance of descendants” exactly like the mirror from the Paekche tomb of King Mu-nyung (d.523). According to Kidder, “most gilt-bronze crowns found in Japan were made in Korea.” Kidder believes that the Fujinoki objects are very similar to Paekche material, specifically the grave-goods from the tomb of King Mu-nyung, and perhaps most of them actually came from Paekche.


Kidder (1989) contends that Fujinoki is the tomb of Sushun (r.587-92), Shōtoku’s uncle assassinated by Soga Umako (d.626), inadvertently exposed to public view through misidentification dating from Tokugawa or Meiji periods. A document dated Empō 7 (1679) that was found in an old chest in Sōgenji, a sub-temple of Hōryūji, refers to the mound specifically as the Misasagi-yama of Emperor Sushun. According to Kidder, Sushun’s name still appeared in this connection in documents until 1872, and the term Misasagi itself continued to be used into the early 1940s.


Farris (1998: 68-70) summarizes the materials, technologies, and religious and political systems that flow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the Japanese islands during the entire Tomb Period.


First, items essentially originated in the peninsula such as iron ore and iron-working techniques, the cuirass, the iron oven, bronze bells, court titles and surnames, the district, measurements for the field pattern system, and mountain fortifications.


Second, items from China that were transmitted with some alteration or refinement, such as the ring-pommeled sword, (U-shaped) iron attachments for farming tools, pond- and canal-digging technology, stoneware, silk weaving, the idea for service and producer units (be), law codes, and writing.13


Third, items that were transferred with slight changes, such as lamellar armor, horse trappings, stone-fitting methods and tombs, gold and silver jewelry, Buddhism, and the crossbow.


Farris (1998-70) states that: “Taken together these three modes of transmission reflect the seminal role played by peninsular peoples in the formation of Japan’s Tomb culture.”


According to the Zhou-shu, Paekche maintained a system of twelve Be (Bu) which served the court as palace functionaries and ten Be which filled government officies (as divisions of the government at large). The former included the Be of grain, Be of meat and butchers, Be of inner repository and storekeeping, Be of outer repository, Be of horses, Be of swordsmiths, Be of medicine, Be of carpenters, and Be of law. The latter included Be of military service, Be of education, Be of civil engineering, Be of judicature, Be of registry, Be of diplomacy, and Be of finance and taxation.14


The Yamato kingdom was established on the foundation of a politico-social system called Uji-Kababe. The Yamato ruling clans were grouped into a large number of extended pseudo-kinship units, called Uji, which acquired clan names denoting the place of their domicile or their occupation. Be groupings represented the hereditary occupational groups serving the Yamato court, under the command of Uji chieftains with Kabane titles. Kabane were titles (prestige order) conferred on Uji chieftains to show their status in the Yamato court. Neither Uji nor Be was a kinship group based purely on blood ties. Both were functional groups including persons without blood relation that were established in the form of extended family units for practical purposes.


The aristocratic Uji chiefs were entrusted with the control of Be groups that furnished goods and services to the court, undertaking farming, land reclamation, fishing, weaving, pottery making, divining, and production of craft goods and iron weapons. Each Uji was assigned a different role and task.15


According to Inoue (1977), the term Uji derives from the Korean Ul and the Mongolian Uru-q, denoting a patrilineal group, and the use of the Chinese character Be “was presumably influenced by the twelve court offices (Bu) of Paekche.”16 Kiley (1983) is more specific: “The use of Kabane titles, like the division of political jurisdictions into Be, was adopted from Paekche. It is quite likely that the institution of Be was the beginning of the Uji. The primary means of controlling the people in the pre-Taika period was Be system. The development of Be was stimulated by that of Paekche. It embodied a distinction between the inner court, i.e., the King’s domestic household, and the outer court or government at large, and each court had its own treasury. This distinction, another adaptation of Paekche institutions, made room for the development of more purely political offices in the national administration.”17


Be was the service group organized first by the people who came from Paekche, fashioned after the Bu (Be) function in Paekche. There were some Be groups that belonged to the royal family, but most of them belonged to the Uji. The Uji chiefs who were in control of the Be groups occupied the core positions in the Yamato court. Uji was the means of effectively maintaining and utilizing the Be groups. The Be system that constituted the foundation of the Uji was indispensable for the Yamato kings to act as the supreme rulers.


According to Nihongi (N1: 365), Yūriaku assembled all the Hata people and gave them to Lord Sake of Hata (Hada no Miyakko) who, attended by excellent Be workmen of 180 kinds, could soon pile up fine silks to fill the Court. Yūriaku then dispersed (ca. 472 AD) the Hata clan throughout the country and made them pay tribute in industrial taxes.18


The Hata and Aya clans, the two largest clans that came over to the Japanese islands from Paekche en masse during the reign of Oujin, were entrusted not only with sericulture, weaving, metallurgy, and land development but also all kinds of administrative duties including diplomatic services, supervision of government storehouses, record-keeping, collection of taxes and disbursements of government resources. These two clans, in particular, enabled the Yamato court to function as a respectable nation-state.


According to Nihongi, when Yūriaku went on a hunting expedition, he wished to cut up the fresh meat and have a banquet on the hunting-field. The Queen was obliged to establish the Fleshers’ Be on the spot for Yūiaku with three stewards of her own. Following the Queen’s initiative, the Ministers, one after another, were obliged to contribute some of their stewards to the Fleshers’ Be.19 What this story tells us is that a Be can be established with as little as three persons as the occasion demands. This also implies that the Yamato people were much more flexible and informal than the Paekche court in establishing a Be as the occasion requires.


The Yamato court had maintained Yama-Be (gathering such mountain products as chestnuts, bamboo and vines), Im-Be (performing religious services), Haji-Be (making haji and haniwa), Kanuchi-Be (producing iron weapons), Nishigori-Be (weaving silk fabrics), Kinunui-Be (sewing clothes), Umakai-Be (raising horse or producing cattle feed), Kuratsukuri-Be (making saddles), Toneri-Be (performing miscellaneous tasks and policing duties), Kashiwade-Be (working in the imperial kitchens), Saeki-Be (performing military services), and so on. 20


Ōbayashi (1985) states that the “important factor for the maturation of Uji is the influx of influence from Altaic pastoral cultures into the Japanese archipelago, thus introducing some new kin terms of Altaic provenance… This process went hand in hand with the penetration of Puyeo and Koguryeo culture into southern Korea. … personal ornaments of glittering gold from some fifth-century kofun indicate the arrival of the royal culture of Altaic pastoral people via the Korean Peninsula. Some myths and rituals centering on the kingship in ancient Japan with Koguryeo and Paekche parallels surely make up another link in the same chain.”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각주]

1 See Kim Ki-Woong (1986: 76, 88-9, 96-97, 99-101, 105-106, 112 120-1, 129).

2 See Ōbayashi (1985: 13-14).

3 三國志 魏書 烏丸鮮卑東夷傳 弁辰傳 . . . 男女近倭 亦文身

4 梁書 列傳 東夷 百濟 . . . 其國近倭 頗有文身者

5 應神 . . .昔日本ハ三韓ト同種ナリト云事ノアリシカノ書ヲ桓武ノ御代ニヤキステラレシナリ 六地藏寺本 北畠親房 神皇正統記 (Tokyo: Kyuko, p. 28)

6 天照大神. . .縛裳爲袴 (NI: 105) 古尓王. . .王服紫大袖袍 靑錦袴 金花飾烏羅冠 (S2: 29-30)

7 應神 十四年 百濟王貢縫衣工

女. . .是今來目衣縫之始祖也 (NI: 371) 衣縫猪手漢人刀良等祖 將居此處 (F: 290) 又貢 上手人韓鍛名卓素 亦吳服西素(K: 248)

8北史 卷九十四 列傳 第八十二

倭國. . .無城郭...其服飾 男子衣裙襦 其袖微小 履如屨形 漆其上 繫之脚. . .婦人 束髮於後 亦衣裙襦 裳皆有襈… 故時 衣橫幅 結束相連而無縫


9 三國志 魏書 東夷傳 倭. . .其衣橫幅 但結束相連 略無縫 婦人被髮屈紒 作衣如單被 窄其中央 貫頭衣之

Ishiyama Akira (KEJ: 1.329) notes that: “Engravings of human figures appearing [to be of the] Yayoi period [on] Dōtaku (bronze bell-shaped ritual objects), excavated in what is now Kagawa Prefecture, depict men wearing a sort of poncho.”

10 周書 卷四十九 列傳 第四十 一 異域上 百濟 …其衣服 男子 畧同於高麗…其冠兩廂加翅…婦 人衣似袍 而袖微大 在室者 編 髮盤於首 後垂一道爲飾 出嫁者 乃分爲兩道焉

北史 卷九十四 列傳 第八十二 百濟. . .其飮食衣服 與高麗略同..

女辮髮垂後 已出嫁 則分爲兩道 盤於頭上

隋書 卷八十一 列傳 第四十六 東夷 百濟. . .其衣服與高麗略同…女辮髮垂後 已出嫁則分爲兩 道 盤於頭上

11 推古 元年春正月 以佛舍利 置 于法興寺刹柱礎中 . . . 建刹柱 (NII: 173 )

扶桑略記 推古天皇 元年正月 蘇我大臣馬子宿 依合戰願 於飛鳥地建法興寺 立刹柱日 嶋大 幷百餘人 皆着百濟服 觀者悉悅

12 See Lee (1991: 742-5).

13 According to Farris (1998: 82), the “reservoirs for watering rice had been less important in China, where rivers kept millet fields and rice paddies moist the year round.”

14 周書 卷四十九 列傳 第四十一 異域上 百濟 官無常員 各有部司 分掌衆務 內官有前內部 穀部 肉部 內掠部 外掠部 馬部 刀部 功德部 藥部 木部 法部 後官部 外官有司軍部 司徒部 司空部 司寇部 點口部 客部 外舍部 綢部 日官部 都市部 都下有萬家 分爲五部 曰上部 前部 中部 下部 後部 統兵五百人 五方各有方領一人 以達率爲之

 According to Hsiao (1978, 38), many high-ranking court offices of the centralized and bureaucratic Qin and Han dynasties originated in the needs of the palace: “The position of prime minister (zai-xiang) originated from the chamberlain of the royal family, and the so-called nine ministers likewise evolved from the domestic staff of the royal family.”

15 Hirano (1977) contends that “a unified state in Japan first came into being in the late fifth century on the basis of the Be community system … Be system can be considered as representing the basic socio-political structure of the primitive Japanese state; at the apex was the Yamato sovereign, who had secured the allegiance of powerful Uji chieftains. Below them were the numerous Be service groups, who provided labor and goods.” By the sixth century, the imperial clan created directly subordinate agricultural Be in the countryside at the expense of local Be.

16 Farris (1998, 101) notes the fact that Tsuda Sōkichi had already contended that the word “Be” was derived from the Paekche language.

17 Kabane usually constituted the final element present in clan surnames. (There were clan names lacking kabane element.) Barnes (1988: 29) states that: “The names of several of the standard [Kabane] ranks have Korean origins and were probably introduced in the mid-fifth century along with the Kabane idea of systematic ranking and many other innovations. Moreover, many of the Uji holding Kabane ranks were themselves of Korean descent.” According to Aoki (1974, 41), “Homuda (Oujin) recruited his lieutenants from the village chieftains in the growing delta. He called them Muraji, a term of distinctly Korean origin, meaning village chief.” Muraji rank was for the important non-royal Uji and generally derived their names from occupations. Omi rank was for the lesser off-shoots of the royal family and usually employed local place names. A Great Omi and a Great Muraji were the chief ministers.

18 雄略 十五年 天皇愛寵之 詔聚秦民 賜於秦酒公 公仍領率百八十種勝 奉獻庸調絹縑 充積朝庭 雄略 十六年 詔 宜桑國縣殖桑 又散遷秦民 使獻庸調 上495

19 雄略 二年 ...命虞人縱獵 …

獮什七八 每獵大獲 鳥獸將盡 遂旋憩乎林泉...問群臣曰 獵場之樂 使膳夫割鮮 何與自割 群臣忽莫能對 於是 天皇大怒 拔刀斬御者大津馬飼 是日 車駕至自吉野宮 國內居民 咸皆振怖 由是...皇太后知斯詔情 奉慰天皇曰 群臣不悟陛下因遊獵場 置肉人部...以我爲初 膳臣長野 能作肉膾 願以此貢...皇太后觀天皇悅...曰 我之廚人...以此二人 請將加貢 爲肉人部 自玆以後 大倭國造吾子籠宿禰 貢狹穗子島別 爲肉人部 臣連伴造國造又隨續貢 上463-465

20此之御世 定賜海部 山部 山 守部 伊勢部也 古248

應神 五年 令諸國 定海人及山 守部 上365

雄略 二年 置史戶 河上舍人部 上465

See Hirano Kunio (KEJ, 1983: 147).


출처 : 동이민족 역사사료
글쓴이 : 稽古諮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