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사거리 배증한 로켓 좌표 제시
'위험지역 좌표' 무수단리서 3천600km 거리
연합뉴스 | 입력 2009.03.13 10:34 | 수정 2009.03.13 12:59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북한이 국제해사기구(IMO)에 로켓 낙하 위험지역으로 지정한 좌표가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 발사장에서 650~3천600km에 이른 것으로 나타나 관심을 끌고 있다.
13일 정부당국에 따르면 북한이 '우주발사체' 발사와 관련, 위험지역으로 각각 지정한 동해상과 태평양 해상의 좌표를 거리로 환산한 결과 발사장으로부터 각각 650km, 3천600km 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무수단리 발사장에서 발사된 3단 로켓으로 이뤄진 발사체의 1단은 650km 동해상으로, 2단은 3천600km의 태평양 해상에 각각 낙하할 것이라고 예고한 것이다. 마지막 3단 로켓은 대기권 밖에서 인공위성을 우주궤도에 진입시킬 때 사용된다.
2단 로켓이 예고한 지점에 낙하하면 북한은 로켓 사거리를 10여 년 만에 배 이상 늘렸음을 의미한다.
북한이 1998년 8월31일 쏘아 올린 대포동 1호(북한은 인공위성 광명성1호 주장)는 무수단리로부터 1천620km 거리의 해상으로 낙하했기 때문이다.
당시 북한은 인공위성 궤도 진입을 목적으로 3단계 미사일로 추정되는 대포동 1호를 발사했으며 3단계 추진은 실패했지만 1, 2단 로켓은 성공한 것으로 평가됐다.
2006년 7월에 발사한 대포동 2호 미사일은 2단 로켓이 점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7분간 490여km를 날다 추락했다. 1998년 8월 발사한 대포동 1호의 사거리를 연장하려는 목적에서 쏘아 올렸지만 기술적 결함으로 실패한 것으로 정보당국은 분석한 바 있다.
오는 4월 4~8일에 발사할 예정인 로켓 '은하-2호'는 노동미사일 추진체 네개를 조합하는 형식의 1단과 노동미사일 추진체 한개인 2단, 고체연료를 이용하는 3단으로 이뤄졌을 것으로 군 관계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1단과 2단 로켓에는 액체연료가 주입될 것으로 보이지만 고체연료 사용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관측하고 있다.
북한이 실제 로켓의 사거리가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제기구에 자신있게 2단 로켓의 낙하지점을 제시한 것은 미사일 시뮬레이션 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올라있음을 방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북한이 2007년 실전 배치한 사거리 3천km 이상의 신형 중거리미사일(IRBM)도 실제 발사과정을 거치지 않고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한 뒤 전력화한 것으로 군은 평가하고 있다.
이란과의 미사일 기술 협력 또한 자신감의 배경이 됐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일본 산케이 신문은 지난 2일 "이란이 자체 개발했다는 로켓 '사피르 2호'가 북한의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해 8월 이란은 모의 위성 발사에 실패한 뒤 그 원인 분석을 북한에 의뢰해 이를 개량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북한의 미사일 기술자가 이란의 위성 발사 준비단계에서부터 깊이 관여해 왔고 북한은 이란 측으로부터 발사 성공 관련 데이터를 받았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데니스 블레어 미국 국가정보국(NI) 국장도 지난 10일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북한은 탄도미사일과 관련 부품을 이란 등 중동 몇 개국에 판매하고 시리아 핵원자로 건설을 지원한 것으로 우리는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한국국방연구원(KIDA)의 한 전문가는 "북한은 1985년부터 3년간 이란에 스커드-B 개량형 190~200기를 이란에 수출한데 이어 1993년에는 스커드-C 개량형 170기를 추가 수출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threek@yna.co.kr
13일 정부당국에 따르면 북한이 '우주발사체' 발사와 관련, 위험지역으로 각각 지정한 동해상과 태평양 해상의 좌표를 거리로 환산한 결과 발사장으로부터 각각 650km, 3천600km 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2단 로켓이 예고한 지점에 낙하하면 북한은 로켓 사거리를 10여 년 만에 배 이상 늘렸음을 의미한다.
북한이 1998년 8월31일 쏘아 올린 대포동 1호(북한은 인공위성 광명성1호 주장)는 무수단리로부터 1천620km 거리의 해상으로 낙하했기 때문이다.
당시 북한은 인공위성 궤도 진입을 목적으로 3단계 미사일로 추정되는 대포동 1호를 발사했으며 3단계 추진은 실패했지만 1, 2단 로켓은 성공한 것으로 평가됐다.
2006년 7월에 발사한 대포동 2호 미사일은 2단 로켓이 점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7분간 490여km를 날다 추락했다. 1998년 8월 발사한 대포동 1호의 사거리를 연장하려는 목적에서 쏘아 올렸지만 기술적 결함으로 실패한 것으로 정보당국은 분석한 바 있다.
오는 4월 4~8일에 발사할 예정인 로켓 '은하-2호'는 노동미사일 추진체 네개를 조합하는 형식의 1단과 노동미사일 추진체 한개인 2단, 고체연료를 이용하는 3단으로 이뤄졌을 것으로 군 관계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1단과 2단 로켓에는 액체연료가 주입될 것으로 보이지만 고체연료 사용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관측하고 있다.
북한이 실제 로켓의 사거리가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제기구에 자신있게 2단 로켓의 낙하지점을 제시한 것은 미사일 시뮬레이션 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올라있음을 방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북한이 2007년 실전 배치한 사거리 3천km 이상의 신형 중거리미사일(IRBM)도 실제 발사과정을 거치지 않고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한 뒤 전력화한 것으로 군은 평가하고 있다.
이란과의 미사일 기술 협력 또한 자신감의 배경이 됐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일본 산케이 신문은 지난 2일 "이란이 자체 개발했다는 로켓 '사피르 2호'가 북한의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해 8월 이란은 모의 위성 발사에 실패한 뒤 그 원인 분석을 북한에 의뢰해 이를 개량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북한의 미사일 기술자가 이란의 위성 발사 준비단계에서부터 깊이 관여해 왔고 북한은 이란 측으로부터 발사 성공 관련 데이터를 받았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데니스 블레어 미국 국가정보국(NI) 국장도 지난 10일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북한은 탄도미사일과 관련 부품을 이란 등 중동 몇 개국에 판매하고 시리아 핵원자로 건설을 지원한 것으로 우리는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한국국방연구원(KIDA)의 한 전문가는 "북한은 1985년부터 3년간 이란에 스커드-B 개량형 190~200기를 이란에 수출한데 이어 1993년에는 스커드-C 개량형 170기를 추가 수출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threek@yna.co.kr
'Analysis > milit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한국의 첫 이지스함(세계 3번째 보유국)-세종대왕함 - 20090515 (0) | 2009.05.19 |
---|---|
[스크랩]포브스,美서 개발·사용중인 전쟁 로봇 소개 (0) | 2009.05.19 |
[스크랩] 북, 미사일보다 더한 타격도 계획 (0) | 2009.02.10 |
[스크랩] 패전을 경고받은 모의전쟁 ‘MC02’ -한호석 (0) | 2009.02.10 |
[스크랩] 북 해군 집중타격 두려운 미 항모전단 (0) | 2009.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