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비스타 출시를 계기로 LCD 모니터의 화면 비율이 와이드로 급변하고 있다. 화면 한 쪽에 미니 애플리케이션을 늘어 놓는 사이드바의 쓰임새는 이 같은 흐름에 속도를 높인다. 지난 2년간 19~22인치 제품의 가격하락에 이어 최근에는 24인치 이상 와이드 LCD 모니터를 30~40만원 대에 구입이 가능해졌다.
24인치 와이드 LCD 모니터의 가격 하락은 보다 높은 해상도를 요구하는 사용자라면 주목해야할 현상이다. 22인치 와이드의 1,680×1,050 해상도가 24인치 와이드에서는 1,920×1,200으로 높아지기 때문. HD해상도의 동영상 콘텐츠 보급에 따른 높은 해상도 요구는 갈수록 높아지기 마련이다. 이른바 풀 HD로 불리는 1125p(1,920×1,080)를 표시할 수 있느냐는 것이 포인트다.
게다가 올해 초 차세대저장장치시장에서 블루레이 진영이 승리를 거두면서 PC용 블루레이 드라이브의 대중화도 멀지 않았다. 또, 고화질의 DSRL 카메라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표시 가능한 색범위의 확대도 빠뜨릴 수 없는 키워드다. sRGB를 넘어서는 색범위를 표현할 수 있는 LCD 모니터가 하나 둘씩 나오고 있고, AV기능에 중점을 둔 제품들은 NTSC비로 90%를 넘는 색범위에 대응하기도 한다.
트렌드 1. 와이드 모니터 급성장 윈도우비스타의 등장으로 고해상도 와이드 LCD 모니터가 급성장하고 있다. WUXGA 대응 제품을 보다 싼 가격에 구입이 가능하다. 트렌드 2. 가격은 내리고 색범위는 확대 트렌드 3. 최신 규격 단자 지원 트렌드 5. 블루레이 진영의 승리 |
인터페이스, 화질·기능의 트렌드
현재 판매되는 24인치 이상 고해상도 LCD 모니터의 상당수는 HDCP 대응 DVI 단자를 제공하지만, 이러한 HD동영상 콘텐츠를 감상하는데 있어, PC의 대응도 예외일 수는 없다. HD콘텐츠를 디지털 연결로 표시하려면, 저작권 보호 기술 규격에 만족해야 하기 때문. HDMI는 물론, DVI도 HDCP 대응이 필수 요건이다.
한편, 콘솔 게임을 즐기는 게임 마니아들 사이에서 24인치 이상 와이드 LCD 모니터 구입을 고려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디지털 TV와 달리 HDMI나 컴포넌트 입력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춰 가족과 충돌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PC 환경에 머물지 않고 게임기나 TV 대용으로 점차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PC용 LCD 모니터.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만이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델의 DisplayPort 지원 24인치 와이드 LCD 모니터 ‘2408 WFP’
여기가 포인트! 고해상도 LCD 모니터와 GPU 선택
급격한 가격 하락으로 증가하고 있는 듀얼 디스플레이나 고해상도 LCD 모니터 사용 환경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그래픽 카드 선택의 포인트를 정리해 보자.
고해상도 LCD 모니터 환경에서는, 우선 비디오 메모리 용량이 중요하다. 아래 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말하는 윈도우 에이로 이용 시 필요한 비디오 메모리의 용량이다. WUXGA(1,920×1,200) 이상의 해상도에서는 256MB를 추천한다. 그러나 이는 싱글 디스플레이 이용을 상정한 것. 고해상도 LCD 모니터를 2대 이상 사용하는 경우 더 많은 용량의 비디오 메모리를 고려해야 한다.
윈도우 에어로 이용 시 추천 비디오 메모리 용량
해상도 | 비디오 메모리 용량 |
1,280×1,024 미만 | 64MB |
1,280×1,024 이상~1,920×1,200 미만 | 128MB |
1,920×1,200 이상 | 256MB |
물론, 이 같은 환경에서 3D 게임을 즐긴다면, 비디오 메모리 용량뿐만 아니라 GPU도 상응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고성능 GPU는, 고해상도에서의 성능 저하를 줄이기 위해 512MB 전후의 메모리를 지원하므로 별다른 문제는 없다.
HD콘텐츠 감상 시 동영상 재생 지원 기능이 있는 그래픽 카드가 유리하다. AMD의 UVD(Universal Video Decoder), NVIDIA의 2세대 PureVideo HD 등의 기능을 갖춘 그래픽 카드를 추천한다. 특히 디코드 부하가 높은 H.264 코덱을 이용한 BD콘텐츠 재생에서 그 위력을 발휘한다.
WUXGA를 넘는 2,560×1,600 등의 초고해상도 LCD 모니터 구입을 원한다면 Dual-Link DVI 지원 여부도 반드시 체크하자. 레이디언 HD 2000 이후, 지포스 8 시리즈 이후의 GPU를 탑재한 제품에서 2개의 DVI 단자를 가지는 경우, Dual-Link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다만, HDCP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Dual-Link 출력이 가능한 것은 G92 코어 이후의 지포스 8/9시리즈와 레이디언 HD 3000 시리즈에 한정된다. 이러한 초고해상도 LCD 모니터도 장기적으로는 가격 인하가 예상된다. 만약 고해상도 LCD 모니터에 맞춰 그래픽 카드를 구입할 것이라면 이 같은 점들을 기억하기 바란다.
레이디언 3850이나 지포스 9600 GT 등을 이용하면, 이 조건들을 모두 만족한다.
Dual-Link를 이용하는 경우, 케이블 역시 지원해야 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스크랩정보 > 스크랩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야생마의 종류01 (0) | 2008.09.12 |
---|---|
[스크랩] 멸종위기의 야생마 프셰발스키(Przewalski) (0) | 2008.09.11 |
차세대 미디어 ‘블루레이’ (0) | 2008.05.22 |
팔뚝을 미끼로 메기 낚시하기 (0) | 2008.05.11 |
신개념 자동차도어 개폐방식 (0) | 2008.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