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 ... Writing/레이니의 일본어 어원 추적

[스크랩] 倭(야마토) 담로가 위치했던 아스카(安宿)의 어원은 한국어 `큰새가라` 2편

monocrop 2007. 10. 2. 03:18

참조 -일본어 어원 추적 15-1편

倭(야마토) 담로가 위치했던 아스카(安宿)의 어원은 한국어 '큰새가라' 1편...(클릭해서 1편 참조하세요) 

 

또한 일본의 고대 지리지 '화명초(花名抄)' 

이세본(伊勢本)에 의하면, 축전국(築田國)

조양군(早良君)의 '早良'이 '日下良'

으로도 표기되었는데 이를 '사카라'로

읽는다.

 

이 '사카라'에서 '사'는  '새'와 같은 말로서

한자 日의 훈독으로 쓰인 것이다 .

실제 '새'라는 한국어는 해에서 파생되어

나온 말로 '해뜨는 곳' 동쪽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日下良(사카라<사하라)'에서  

한자 下는 한국어 '가라'의 '가'를 음독한

것이고(下는 k행의 k자음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하行의 f,h나 p자음과 교차한다고

1편에서 기술한 바 있다. 즉 후세에 이 '사카라'는 '사하라'로

음운이 전성된다. 즉 사카라<사하라),

 

良은 '가라'에서 '라'의 음독이다.

즉 한자는 달라도 모두 '새가라'라는

의미를 표현하고 표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음운 법칙에 따라서 백제정벌군의

침공이전 야마토지방에 선재하던 가야계

왜부족국가의 이름은 '카스카라'였고 이는

고대 한국어나 마찬가지지만 다시 한국어로

풀어 쓰면 '큰 새가라'

즉 大東加羅(동쪽의 커다란 새 가라 또는

백제 침공후에는 새로운 한국, 일본에서

가라는 한국을 지칭하는 관념적 어휘라서

여기서는 특별히 가야를 의미하지 않고

새롭게 한국에서 온 통치자나 집단을

의미하는 의미로 쓰이게 된다)이라는 것이다.

 

이런예는 한국에도 새말 또는 새마을이라는

지명이 도처에 널려있는 것만 보아도 유추가

가능하다, 즉 선주하던 가야계 왜부족국가가

자기들의 고향의 이름을 자칭하며 붙였을

것은 자명하다.

 

'가라'라는 말은 17편에서도 살펴봤듯이

가야라는 국가성립 이전부터도 한반도의

변한땅을 지칭하는 고유명사이자 보통명사로

쓰였으며 '가장자리쪽의 땅'이라는

알타이어이자 한국어인 '가라'

'가장자리 마을'이라는 관념으로도

사용되어 졌을 것이다. 

 

백제가 열도를 정벌한 4세기말의 倭의

국력이라봐야 수십개의 부족국가가 난립한

큰 마을들의 공동체같은 보잘 것 없는

수준임은 재론할 필요는 없다.

 

이것이 야마토라는 백제의 공식담로명칭과

더불어 백제의 새로운 식민지의 중심지

명칭으로 공유되고 다시 백제의 영역이

확장되면서 본래 '카스카라'로 가야계

왜 부족국가의 성격이 강했던 음운적 특성이

k행의 k자음이 약화되고 '스카라' '아스카라'로

음운변화 되고 이것이 다시 어미 '라'까지

탈락하면서 '스카' 소카' '사카' '아스카'등으로

백제명칭화 과정을 거치며 사람들의 관념에

고정되고 인식되면서  이 명칭이 일본 전역으로

퍼져 나간것이라고 한다.

 

물론 아스카의 대표적인 명칭은 나라현

야마토군 아스카촌의 우리가 논하는 바로

그 아스카이다.

 

더구나 일본이라는 명칭도 바로 이

'ㅅ.ㅣ가라(새가라)' 즉 '大東가라'에서

유래했다고 한일고대사 연구가 박병식의 저서

'도둑맞은 우리국호-문학수첩刊'에서 밝히고

있다.  

 

즉 일본이라는 명칭은 위에서 본 日下라는

명칭에서 연유한다고 하는데 이 日下라는

단어는 우리말로 풀어 쓰면 '새가라'가 되지만,

이를 일본어로 훈독하면 '히노모토'가 된다. 

 

여기에 下를 같은 뜻을 가진 本이라는

좀 더 나은 문자로 바꾸면 日本이 되는데

일본국명인 니혼 닛폰은 바로 이

히노모토를 음독한 것이다.

 

또한 일본인 학자들은 日本이라는 말이

한국에서 건너왔다는 사실을 고백한다.

 

'대일본지명사서[1907년 요시다 도고 著]'

에서 요시다는 3부 국호편에서 "일본이란 

국호는 본래 한민족이 쓰던 말로 그 말이

아름다워 우리나라의 이름으로 쓰는 것이

좋겠다고 여겨 만고불변의 국호로 삼았다"

라고 고백한다.

 

즉 '새가라'라는 말이 '해뜨는 동쪽의 나라'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은 위에서 살펴본 바

있듯이 '새가라'를 풀어서 한자로 쓰면 

'히노모토(日本=해뜨는 곳)'인 것이다.

 

또 그 책에 '호시노 히사시(星野恒)'의 글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는 "상고시대부터

히노모토(태양의나라)라는 이름이

우리나라(일본)에 있었다. 日本이라는 글자는

'히노모토(위에서 지적한 日下良, 새가라)'라는

우리말(일본말)에 漢文字를 적용시킨 것이다.

그런데 일본이라는 국호는 韓人들이 처음에

쓰기 시작한 것이다"라고 솔직하게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모두에서 언급했던 明日香이라는

'아스카'의 다른 표기는 '새가라'라는

어원분석과 가장 근사한데 이 '명일향'을

한자 그대로 '날을 밝히다 또는 날을 새다'라는

의미로 해석하거나 香을 마을 향(鄕)의

오기로 봐서 '날을 새는 마을'로 소박하게

해석할 수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明을 밝고

커다랗다는 한국어 어근 '크'의 일본식

대응음운인 '카'로 훈독하여 새기고 日은

위에서 본 것처럼 '새'의 일본식음운인 '스'로

새기며, 香은 음독하여 '카'로 읽는 것이 정확하다.

 

즉 명일향을 위와같이 해서 훈독과 음독을

병행하면 '카스카(라)'가 된다. 

즉 明日香은 日下良(사카라)처럼

'새가라(大東加羅)'의 다른 표기 방식이다.

 

또는 우리 고어 '큰스가올(큰시골=큰마을)'이

음운 전성되면서 큰스가올<카스가(올 탈락)

<카스카<(ㄱ음 약화)아스카'로 변화했다고

분석하는 학자들도 있다. 

 

그런데 일본인들이 7세기 이후 '아스카'를

여러가지로 해석하는 과정에서 이를 다양하게

한자로 표기하려고 했는데 그 흔적이 바로

安宿,明日香이다.

 

특히 飛鳥라고 표기 한것은 明日香을 한자

의미 곧이 곧대로 해석하려 했던 ' 날을 새다'

에서 파생된 표기방식이라 볼 수 있다.

즉 日은 날이고 明은 밝히다니까 '날을 새다'가

되고 이는 민간전승으로 flying bird라는 의미의

'날새'로 전승될 수 있다.

 

그리고 '날새'로 전승된 단어는 飛鳥로 오기

되면서 고착화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7세기 이후 이러한

일본인들의 어원분석 흔적으로 미루어 볼 때 

그들은 한국어 '날다'라는 말과 '새'라는 말을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明日香의 의미가 '날새'로 오도된

전승형식인  飛鳥라고 표기했다고 볼 수 있다.

 

지금 일본어의 '날다'라는 말은 'とぶ(tobu)'로 

한국어 '뛰다'가 단순화한 형식이다.

 

이말은

현대 한국어 '날다'와 다르지만 '새(鳥)라는

말의 흔적은 'からす(karsu=검은새=까마귀)'에

'す(su)'의 형식으로 남아 있는 것을 볼 때 

'새'라는 말은 とり(dori)라는 말외에도

분명하게 존재하는 것이 현대일본어에서도

확인된다.

 

이는 한국어의 특질상 남부 퉁구스어와

중부퉁구스어의 음운적 차이일 뿐이다.

 

따라서 '날다'의 현대일본어 tobu외에

고대에는 좀 더 한국어 '날다'에 근사한 어근이

존재하고 그들도 인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지 않으면 어떻게 조립을 하든 아스카를

明日香이라는 중간단계를 거치지 않고는

飛鳥라고 표기할 수는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백제의 야마토 담로가 세워진

중심지 '아스카'의 어원에 대해서 살펴 봤고

그것의 어원은

고대 한국어 'ㅅ.ㅣ가라(새가라)'

에서 유래하고 그것은 후일 '일본'

이라는 국호와 연결된다는 것을

살펴 봤다.

 

한국인의

(일본인도 우리의 아류니까 일본인 포함)

무의식의 기저에는 해가 뜨는 곳인,

아사달,새벌(소부리,서라벌, 서울, 

김해,철원,새가라,신라,일본, 東京)로의

指向이 유토피아를 향한 

노스탤지어같은 원형적 유전자로 내면에

각인되어 체화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어원탐색의 여정인 듯 싶다.

 

 

(고대한국어)큰ㅅ.ㅣ가라

<(일본어화한 고대한국어)카스카라

<(어두 카의 약화)아스카라

<아스카(어미 '라'탈락)=스카(어두 아탈락),

=소카(스의 다른 발음형식)

=사카(스의 다른 발음형식)

 

큰ㅅ.ㅣ가라<카스카라<아스카라

<아스카<스카=소카=사카

/

 

부연-

 

"[보통 우리사서상으로는 이두식으로 那로

쓰이는 '나'계열의 나라이름은 바로 알타이어

이자 부여어인 '國'의 순수한 東夷식 표현인

것이다. 그러나 이 '나'라는 이 말이 한국이나

일본에 그대로 지금까지도 살아 움직이고 있는

생생한 현재형이라는 것을 잘 모를 것이다.

 

즉 한국어로 '나라'는 이 알타이어

'나+나(땅이 여러개 합쳐져 넓은 곳이라는

의미에서 관념적으로 국가의 의미로

전성된 것임)'가

즉 '나나'라는 발음이 다시 유음화하여

'나라'가 된 것이다.

 

한국어_나라(國)=나+나

<나+(유음화)라<나라

 

또한 이 말은 일본에서는

'奈良(한자 발음으로는 '나량'이지만 이는

'나라'의 일본식 이두 표기일 뿐이다.)'이라고

쓰고 일본어로 'nara'로 읽는 일본 나라현 분지

일대 즉 한국인들이 고대에 사람 살기에 좋은

너른 땅이라는 의미에서 명명하고 후에

백제인들이 야마토 담로를 세운 현재의

나라현일대를 지칭하는 말이며 그 의미는

바로 우리말 '나라' 그 자체이다.

 

일본어_nara(なら=奈良)=한국어'나라'에서

유래

 

<(음운전성 없이 그대로)na+ra

 

또한 우리는 한자로 伽耶 또는 駕駱등으로

고대 4국시대의 한 국가인 '가야'를 지칭

하지만 이것들은 모두 이두식 음차이고

가야의 실제 이름은 '가라'이고 일본인들은

지금도 韓이라 쓰고 'kara'로 읽는다.

 

주지하는 사실이지만 백제가 야마토담로를

세우기 이전 야요이 시대에 일본열도에

진주한 이들은 고대가야계의 한국 남부

지방사람들이었다.

 

그래서 야요이시대를 연 한반도 남부지방

사람들은 가야=고향=한국이라는 무의식이

체화되어 있었고 따라서 그들은 가야를

순수한 토착어로 '미마나'라 불렀고 지금도

부르고 있다. 

 

이는 한국어 '밑나나(본국)<민나나

<(활음조에 의한 같은 자음의 연속회피)미나나

<미마나'의 음운전성형이다.

 

일본어_mi+ma+na(韓 또는 kara=가야의

일본어 훈독)=한국어 밑+나나(本國)에서 유래

 

밑나나(근본이 되는 나라)<민나나

<(활음조)미나나<미마나

 

그런데 가야의 어원의 뿌리는 고대 한국의

삼한(청나라가 저술한 역사서 흠정만주원류고에

의하면 그 강역은 중국이나 만주까지 확장된다)중

'가장 가장자리에 위치했던 땅'이라는 의미의

한자 弁韓의 순 우리말인 '가+나' 즉 '가라'인

것이다.(다시 류음화하여 '가라<가락 <가야')

 

한국어_가장자리 땅(弁韓)=가+나

<가라

<(한자식 이두표현-일본에서는

그대로 '가라'로 정착)가락

<가야(가락이나 가야나 모두 가라의

유사한 발음인 한자의 음차)]"

 

 

 

 

 

 

 

출처 : 슈뢰딩거의 고양이
글쓴이 : 레이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