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관련 글들/한국사관련 글들

[스크랩]광개토대왕 북경까지 공격했다

monocrop 2009. 4. 8. 00:23

http://www.coo2.net/ 네티즌 자유게시판 / 15756

2009-04-07

 

 

[단독 발굴] 광개토대왕 북경까지 공격했다
기사입력 2009-04-07 09:56  



광개토대왕의 후연(後燕) 공격 사실이 기록돼 있는 중국 정사(正史)인 진서(晉書).  

조부 고국원왕 위한 복수… 중원 장악한 후연(後燕)의 수도 공략

게릴라식 기습작전, 5C 동북아 패자는 중국 아닌 고구려임을 의미

연세대 지배선 교수, 중국 역사책 진서(晉書) 기록 찾아내

고구려가 전성기로 치닫던 404년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375~413)이 중국의 수도인 북경(당시 지명은 연군·燕郡)을 침공해 게릴라전을 폈으며, 이로 인해 당시 중원(中原)의 패권을 쥐고 있던 후연(後燕)이 멸망의 길을 걷게 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후연의 도읍이던 연군은 연(燕)나라 이후 명(明)~청(淸)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중국의 수도가 자리하고 있는 대륙의 심장부다. 따라서 이러한 학계의 주장은 5세기 당시 동북아시아의 패자(覇者)가 중국이 아닌 고구려였다는 사실을 방증해주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진서(晉書)는 당 태종 때 편찬된 정사(正史)

“고구려가 연나라 공격해 100명 죽였다” 기록

연세대학교 역사문화학과 지배선(池培善·62) 교수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燕郡(北京) 침공 원인에 대하여’라는 논문을 통해 이같이 주장하면서, 중국 역사책인 진서(晉書)의 기록을 근거로 제시했다. 진서는 당(唐) 태종(太宗)이 지시해 편찬한 진(晉) 왕조의 정사(正史)로, 5호16국(五胡十六國)과 진나라 시대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사료다. 이 책 권124 모용희재기(慕容熙載記) 404년 12월 조(條)에는 “그때 고구려가 연나라를 공격하여 100여명을 죽였다(會高句麗寇燕郡, 殺略百餘人)”고 기록돼 있다.

지배선 교수는 “여기서 도적을 뜻하는 구(寇)자를 사용한 점으로 미뤄 중국인들이 광대토대왕의 연나라 공습 사실을 격하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며 “따라서 100명을 죽였다는 기록 역시 사실과 다르게 축소된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광개토대왕의 북경(연군) 공습에 대해 “할아버지인 고국원왕의 복수를 위해 대규모 군사작전을 벌인 것”이라며 “적국의 수도를 유린한 이 게릴라전의 후유증으로 인해 당시 중원의 패자였던 후연(後燕)은 붕괴의 길을 걷게 됐다”고 말했다.

지 교수는 “진서는 중국인들이 일점일획의 거짓도 없다고 믿는 정사(正史)”라며 “하지만 안타깝게도 삼국사기(三國史記)나 삼국유사(三國遺史) 같은 우리 역사서엔 ‘광개토대왕이 친히 군사를 이끌고(出師) 연나라를 공략했다(三國史記 廣開土王本紀 十三年條, 十二月 出師侵燕)’는 사실만 간략하게 나와있을 뿐, 연나라를 쳐들어가서 어떤 공적을 세웠는지에 대한 내용은 적혀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중국 정사를 통해 광개토대왕의 이 같은 활약상을 확인한 것은 지 교수가 처음으로, 이 논문은 오는 4월 발행되는 백산학보(83호)에 실릴 예정이다.

광개토대왕의 후연 공격 원인을 살피기 위해선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고구려와 선비족(鮮卑族)의 관계를 살펴야 한다. 선비족은 한나라(前漢) 북쪽에 살던 호전적 성향의 유목민이다. 고구려 역사에 선비족이 처음 등장한 것은 BC 9년으로, 삼국유사 유리왕본기(瑠璃王本紀)에 ‘선비족이 고구려 국경을 자주 침공하자, 고구려가 계략을 꾸며 힘센 선비족을 제압해 속국으로 삼았다’는 내용이 기록돼 있다.


1_ 4세기 중엽, 전연(前燕)의 최전성기를 그린 중국역사지도집(지도출판사) 제4책, 1982년 지도 2_ 4세기 말, 후연(後燕)의 영역을 그린 중국역사지도집(지도출판사) 제4책, 1982년 지도. 이때가 붕괴 직전이었다. 3_ 고구려 최전성기 4~5세기 영역도. 고구려는 만주는 물론 요동반도~흑룡강성 일대까지 영역으로 삼았다.

수백 년 걸친 고구려-선비족 갈등이 게릴라전 배경

고구려 속국 된 선비족은 보복으로 미천왕 시신 약탈

고구려의 속국이 되긴 했지만, 선비족의 전투력은 막강했다. 씨족사회를 기반으로 삼아 뭉치고 흩어지길 반복하던 이들은 285년 전연(前燕)을 건국한 모용외(慕容鬼)를 중심으로 전열을 정비, 293년 고구려로 쳐들어왔다. 이때 모용외는 고구려 서천왕의 묘를 파헤치려 했다. 자신들을 압박했던 서천왕에 대해 일종의 복수를 시도한 것이다. 이에 대해 지배선 교수는 “죽은 이의 무덤을 훼손하는 것은 그 시기 유목민들의 전통적인 복수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모용외는 도굴에 성공하지 못했다. 이후 그는 도굴을 목적으로 재차 고구려를 침공하지만 결국 ‘뜻’을 이루지 못한다.

선비족과 고구려의 갈등은 이후 봉상왕(烽上王)~미천왕(美川王) 시대를 거치면서 심해졌다. 낙랑(樂浪)군을 공격해 위명을 떨친 미천왕이 선비족 세력권이던 요동(遼東)지역을 자주 침공하자, 선비족도 이를 맞받아쳐 접전이 끊이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던 두 나라가 감정의 골이 결정적으로 깊어진 것은 미천왕의 뒤를 이어 즉위한 고국원왕(故國原王) 때였다.

당시 선비족의 패권을 쥔 사람은 모용황(慕容皇光)이었다. 모용외의 뒤를 이어 337년 전연의 왕으로 등극한 그는 동생 모용인(慕容仁)보다 무공이 약하다는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자신의 권위를 확고히 세우고자 342년 고구려 침공을 감행했다.

수년간 복수를 다짐해온 선비족의 군사력은 강건했다. 그들은 고구려 수도인 환도성(丸都城)까지 쳐들어와 궁성을 불사른 뒤, 유목민 전통을 따라 고국원왕의 아버지인 미천왕의 시신을 약탈하고 고국원왕의 어머니 주씨(周氏)와 왕후를 납치해 갔다.

이후 고구려는 미천왕의 시신과 고국원왕의 생모·왕후의 송환을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 희귀한 보물을 1000여종이나 진상하며 송환을 요청했지만, 모용황은 미천왕의 시신만 돌려줬을 뿐 생모와 왕후는 돌려보내주지 않았다.

그러던 두 나라 관계에 변화가 생긴 것은 모용준(慕容儁)이 전연을 장악한 348년이었다. 강해진 국력을 바탕으로 자만에 빠진 모용준은 스스로를 황제라 칭하며 수도를 업(業홙)으로 이전했다. 점차 한족의 풍습에 젖어든 그는 요동과 창려(昌黎)에 모용외의 사당을, 범양(范陽)과 연군에는 모용황의 사당을 짓고 참배를 드리게 했다. 유목민의 야성을 상실한 그는 고구려의 요청을 수락, 고국원왕의 어머니 주씨를 돌려보내줬다. 하지만 역사는 교만한 자에게 냉정한 법. 호시탐탐 연(燕)을 노리고 있던 전진(前秦)이 때를 놓치지 않고 공습을 감행, 전연을 붕괴시켜 버리고 말았다.

이후 고구려는 전진과 문물을 교류하며 화평한 시기를 보낸다. 하지만 평화는 잠시, 모용황의 아들 모용수(慕容垂)가 세력을 규합해 384년 후연을 세우면서 고구려와 선비족 간의 오랜 갈등은 또 다시 불거지게 됐다.

이번에 선공을 가한 것은 고구려였다. 광개토대왕의 아버지 고국양왕이 385년 6월 후연의 본거지인 요동을 공격, 함락한 뒤 1만명을 사로잡아 돌아온 것이다. 그러자 그해 11월 후연은 다시 군사를 보내 요동을 회복했다. 지배선 교수는 “기록에 의하면 당시 유주(幽州)와 기주(冀州)의 유민들이 다수 고구려에 투항했다”며 “유주는 지금의 베이징 인근이며 기주는 베이징 200㎞ 남쪽의 내지(內地)로, 이 지역에서 유민이 투항했다는 사실은 고구려의 영향력이 중국 내륙까지 깊숙이 뻗쳐 있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광개토대왕 공격 후유증으로 후연 결국 멸망

후연 무너뜨리고 북연(北燕) 세운 왕도 고구려 유민


392년 즉위한 광개토대왕은 그해 7월부터 영토 확장에 주력했다. 백제를 침공해 10개의 성을 빼앗아 후방을 다져놓고, 북쪽의 거란을 공격해 잡혀갔던 고구려인 1만명을 이끌고 돌아온 그는 서쪽으로 고개를 돌려 숙적 연나라를 주시했다.

대왕이 칼을 뽑은 것은 401년. 천부적 군사 감각을 갖고 있던 광개토대왕은 후연의 권력을 쥐고 있던 모용성(慕容盛)이 쿠데타로 시해되고, 모용수의 아들 모용희(慕容熙)가 권좌에 오르는 혼란기를 놓치지 않았다. 군사를 몰고 쳐들어간 대왕은 숙군성(宿軍城)을 점령해 기염을 토한 뒤, 여세를 몰아 중국 내륙을 공략했다.

이 사실에 대해 자치통감(資治通鑑 卷113 晉紀35 安帝元興3年 12月條, 高句麗侵燕)과 삼국사기(三國史記 廣開土王本紀 十三年條, 十二月 出師侵燕)는 “고구려가 쳐들어갔다(侵)”고 기록하고 있다. 반면 진서(晉書 卷124 慕容熙載記, 會高句麗寇燕郡 殺略百餘人)는 “고구려가 도적질을 했다(寇)”고 기록하면서 “100여명을 죽였다(殺略百餘人)”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지배선 교수는 “도적질 했다(寇)는 진서의 표현은 중국인들이 이 사실을 격하했다는 의미”라며 “따라서 100명을 죽였다는 기록 역시 사실과 달리 축소된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춘추전국시대 이전부터 북경 일대는 연이라 불렸다”며 “전연·후연 같은 나라 이름에도 ‘연’이 들어갔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 북경 일대는 매우 중요한 정치·군사적 요충지”라고 말했다. “그런 요지가 고구려에 유린당했다는 사실을 중국인들이 인정하기 싫었을 것”이란 얘기다.

게릴라전을 전개하며 북경을 유린한 광개토대왕이 할아버지 고국원왕의 복수를 위해 선비족의 사당을 유린했을까. 아쉽게도 이에 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미천왕의 시신을 돌려받기 위해 연에 줬던 1000여종의 보물을 되찾았는지에 대해서도 기록은 말이 없다. 선비족과의 수백 년에 걸친 갈등 과정에서 연으로 끌려간 고구려인들이 무사히 송환됐는지에 대해서도 묵묵부답이다.

다만 △수도를 유린당한 후연의 모용희가 이를 만회하기 위해 고구려 목저성(木底城)을 공격하다 또 다시 패했고 △강성해진 고구려가 위용을 과시하기 위해 406년 궁궐을 중수(重修)했으며 △이듬해인 407년 고구려 유민 고운(高雲)이 모용희를 살해한 뒤 북연(北燕)을 건국해 왕이 됐다는 기록은 전해지고 있다. 삼국사기는 고운에 대해 이렇게 묘사했다. “북연의 왕 고운의 할아버지 고화(高和)는 고구려 사람으로 스스로를 고양씨라 칭하며 고(高)씨를 성씨로 삼았다(雲祖父高和 句麗之支屬 自云高陽氏之苗裔 故以高爲氏焉).”

지 교수는 “광개토대왕의 게릴라 공습으로 인해 후연이 멸망의 길을 걷기 시작한 점과, 북연을 건국한 고운이 광개토대왕에게 같은 종족으로서 예를 취했다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미뤄, 5세기 초 고구려는 아시아는 물론 북중국의 질서까지 장악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훗날 북위(北魏)의 침공으로 북연이 붕괴되자, 장수왕이 2만 군사를 파견해 북연 왕실과 도성 주민들을 고구려로 이주시켰다”며 “이는 장수왕 때까지 북중국 동부에서 고구려의 영향력이 지속됐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지배선 교수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선비(鮮卑)족 연구 전문가. 5호16국을 중심으로 고대사 연구를 하던 중 고구려 역사에 빠졌다. 중국 대륙에 고구려 유민의 제국을 건설한 이정기, 중앙아시아를 호령한 고선지, 당나라 황제에 대항해 쿠데타를 꾀했던 고구려 유민 왕모중 등 고구려와 고구려 유민에 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 이범진 기자

  사진= 허재성 조선영상미디어 기자





김성겸 (2009-04-07 15:42:23)  
위에 있는 글을 읽어보다가 잠시 작업을 멈추고 몇자 토를 달아봅니다.

세칭 일류대학의 역사전공{학과기준 아님} 교수자들의 우리겨레의 상고사와 고대사에 대한 역사와 역사강역 인식이 우리 같은 그네들이 말하는 무지렁이들이 찾아내는 것들에 의하여 조만간 한조각도 남지 않고 산산조각이 날 것으로 봅니다.

고구리의 광개토대왕이 자신의 도성{石}을 쳤다는 얘기를 하고 있음을 모르는 이들이
우리 겨례의 역사와 역사강역을 지금도 주무르고 있음이며,
학교를 통하여 한 것으로 모자라서 다시금 역사고시를 동원하여 보수교육까지 하고 있음을 어찌 해야 될지 답답하기만 합니다.

금년 여름에 남당유고 추모경 완역 초역판을 세상에 내보낼 일을 마무리 하고 있는 중입니다.
추모경에 비치는 고구리 창세기 즉 대연방천제국 후기의 북부여 재생기의 역사 강역을 이해하게 되면,
지금껏 선택의 여지가 없어서 또는 미련을 버리지 못하여
이손 저손으로 주물러서 각색하여 놓은 소위 김부식과 일연의 삼국사와 삼국유사가 아닌 조선총독부와 식민반도사학들이 편집하여 완성하여 놓은
한 없이 구겨진 우리겨레들의 역사와 역사강역에 대한 개념을 한조각도 남기지 않고 산산조각 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무신제와 태조 및 광개토대왕 치세의 역사강역이
대연방천제국 대부여 및 북부여를 재생시킨 즉 고구리 창세기를 이끌어낸
추모대제의 역사강역을 다물하는 수준을 크게 넘지 못함을 아시게 될 것입니다.

아래의 기록은 국강상광개토평안호태왕 즉 영락대제의 서역 땅 인근 선비의 일파인 비리국을 다시금 복속시키는 원정과 관련한 기록들을 뽑아서 간략히 하여 놓은 것입니다.
아래 기록 중에 나오는 염수鹽水는 북막지경의 파산・부산・부산을 지나서
卑离를 재차 복속시킨 후에 다다른 곳입니다. 바로 현금 지도상의 기련산맥 북변정도의 염수・염하・염지・염호라는 얘기가 되는 것입니다.
- - - - - - - - -
<國罡上廣開土平安好太王>則<永樂大帝>의 <卑離>征伐 終着地 <鹽水>位置는?

<추모대제기>
● 八年辛卯, 正月, 沿<黑水>立亭. <黃龍>主<宝得>殂, <于仁(從弟)>立. 八月, <卑離(西扶餘)>・<紫蒙>來貢.
○ 8년{단기2304년/BC30}신묘, 정월, <흑수黑水{白河東黑河?; 山西平陽黑水?; 山海關東北黑水? 河套九原東北邊 大黑水河?, 嫩河東北黑龍江?}>를 따라 역참을 세웠다. <황룡黃龍>주 <보득宝得>이 죽고, <우인于仁(종제)>이 섰다. 8월, <비리卑離(서부여)>와 <자몽紫蒙>이 조공하여 왔다.

<태조황제기>
☯ 十一年壬戌, 二月, 上, 復引<馬韓>・<勾茶>・<盖馬>三國兵, 伐<川西>・<勾麗>拔之. <姚光>, 逃走, 爲其部下所殺. <仇台>, 逃入<西紫蒙>自稱<西扶余>, 後爲<宇文>所逐.
○ 11년{단기2455년/AD122}임술, 2월, 상이 다시금 <마한馬韓>・<구다勾茶>・<개마盖馬> 3국의 군병을 이끌고 <천서川西>와 <구리勾麗>를 쳐서 빼앗았더니, <요광姚光>은 달아나다가 자기 부하 손에 죽었고, <위구태仇台>는 <서자몽西紫蒙>땅으로 피하여 들어가 <서부여西扶余>를 자칭하였으나 후일 <우문宇文>씨들에게 쫓겨났다.

<고국천제기>
● 十五年癸酉, 二月, ※<冨山><則忽白>等侵<最彘>・<盖馬>. 四月, <盖馬>大加<優居>・主簿<然人>等伐<冨山>. <公孫度>請助戰, 不許. <則忽白>等走漠北.
○ 15년{단기2526년/AD193}계유,... 2월, ※<부산冨山>의 <즉홀백則忽白> 등이 <최체最彘>와 <개마盖馬>를 침략하였다. 4월, <개마>대가 <우거優居>와 주부<연인然人> 등이 <부산冨山>적을 토벌하였다. <공손탁公孫度>이 싸움을 돕겠다고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았다. <즉홀백> 등은 막북漠北{사막 북쪽}으로 도망갔다.
※☞<삼국사기><신대왕>5년{AD169}조에 “王遣大加<優居>·主簿<然人>等, 將兵助<玄菟>大守<公孫度>, 討<富山>賊.” 즉, “왕이 대가 <우거>와 주부 <연인> 등으로 하여금 군사를 거느리고 <현도>태수 <공손도>를 도와서 <부산>적을 토벌하게 하였다.”라고 적혀 있어, 비슷하나 감이 다름! ☞ 이 기사는 <冨山>의 위치가 산서성 북부에 있던 <개마국>과 <막북>간일 것임을 얘기하는 것이라 본다!

<영락대제기>
☯ 三年癸巳, 七月, 征<契丹>拔<川西>. 上, 命二后, 親選國中壯女爲兵而習騎射. <平昜[=陽]>后夢見, 佛來授童子, 曰;“此, 是<無量壽>也.” 上, 聞之, 命創寺于「平壤」及三都, 以洪佛道, 是乃「九寺」之始也. 八月, <莘>聞我征<契丹>, 以爲虗而使<眞武>侵<石峴>, 又侵<関彌>, 不克而去.
○ 3년{단기2726년/AD393}계사, 7월 <거란契丹>을 쳐서 <천서川西>를 빼앗았다. 상이 두 후에게 명하여서, 친히 나라 안의 건장한 여인들을 가려 뽑아서 병사로 삼고, 말 타기와 활쏘기를 연습시키게 하였다{女騎射隊를 養成하였다는 얘기!}. 8월, <아신莘>이 우리가 <거란契丹>을 정벌한다는 소리를 듣고, 우리의 나라 안이 비었을 것으로 여기고, <진무眞武>로 하여금 <석현石峴>성을 치고 또 <관미関彌>성을 쳤으나, 이기지 못하고 돌아갔다{☞<삼국사기>엔 <광개토왕>2년{AD393}추8월 기사로 되어있다!!}.

● 五年乙未, 二月, 上, 以<卑離>漸違王化, 親征<叵山>・<冨山>・<負山>至<鹽水>, 破其部落七百余所, 獲牛馬羊豕万數. 二后亦騎馬而從上. 上, 以<吐>后有身止之, 而不聽. [歸]生女, 名以<三山>. 八月, <眞武>又乘虗入寇. 上, 以七千騎馳到<浿水>上, 虜獲八千余級. <末曷>侵<羅><悉直>. 十一月, <莘>, 欲雪<浿水>之恥, 將七千人過<漢水>至<靑木岺>, 遇大雪多凍死, 廻歸<漢城>而勞軍.
○ 5년{단기2728년/AD395}을미, 2월, 상은, <비리卑離{弱水印의 西扶餘?}>가 점차 왕의 가르침을 어기기에, 친히 <파산叵山>・<부산冨山{현 산서‧섬서 북방이며 북막의 남방에 해당}>・<부산負山>을 정벌하고 <염수鹽水{甘肅祁連山・合黎山附近・蒲昌海? 인근}>까지 이르면서, 그{卑離}들 부락 700여 곳을 깨뜨렸고, 소・말・양・돼지를 노획한 것이 만으로 셈이 되었다. 두 후{平昜과 吐山} 역시 기마하여 상을 따랐다. 상이 <토吐>후는 임신 중이라 말렸어도 듣지 않았고, 돌아와서 딸을 낳았더니, {이 세 산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삼산三山>으로 하였다. 8월, <진무眞武>가 또 빈틈을 노려 쳐들어오니, 상이 기병 7천을 몰아서 <패수浿水{或沮水?}>위쪽{북?}에서 8천여 급을 노획하였다.{☞<삼국사기>에는 4년 기사로 되어있음} <말갈末曷>이 <신라羅>의 <실직悉直>을 침입하였다.
11월, <아신莘>이 <패수浿水>에서의 수치를 설욕하려고 7천병으로 <한수漢水{長江支流漢水?}>를 건너서 <청목령靑木岺>에 이르렀다가, 큰 눈을 만나서 많은 이가 얼어 죽었더니, 군사를 돌려 <한성漢城{漢山城? 長江中流漢陽府漢山城?}>으로 돌아가 군사들을 위로하였다....
김성겸 (2009-04-07 16:54:48)  
한 글자가 또 버그인지...바로 잡습니다.

고구리의 광개토대왕이 자신의 도성{서도 西 都}을 쳤다는 얘기를 하고 있음을 모르는 이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