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동물 유전자 쥐에서 발현 성공<美ㆍ濠연구진>
연합뉴스 | 기사입력 2008.05.21 06:01
태즈메니아호랑이 유전자 쥐에서 연골 형성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미국과 호주 공동연구진이 1930년대 호주에서 멸종된 태즈메니아 호랑이(thylacine)의 유전자를 추출해 쥐에 주입, 생물학적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 텍사스대 리처드 베링거 교수와 호주 멜버른대 앤드루 패스크 박사팀은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 최신호에서 박물관에 보관돼 있는 태즈메니아 호랑이 표본에서 유전자(Col2a1)를 뽑아내 쥐에 주입, 이 유전자가 연골과 뼈 형성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멸종된 동물에서 DNA를 추출한 경우는 많이 있었지만 특정 유전자를 뽑아내 살아있는 동물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지금까지 우리는 멸종동물이 가진 몇몇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데 그쳤다"며 "이 연구는 나아가 멸종된 동물의 유전자가 생명체에서 어떤 기능을 했는지 밝혀내는 첫 걸음"이라고 말했다.
태즈메니아 호랑이는 아기주머니가 있는 유대류 중에서는 가장 큰 육식동물로 호주에 주로 서식했으나 20세기 초 사냥 때문에 멸종했다. 1936년 호주 호바트 동물원에서 마지막 남은 한 마리가 죽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이 연구에서 호주 멜버른의 빅토리아박물관의 알코올 속에 보관돼 있는 100년 된 태즈메니아 호랑이의 표본을 이용했다.
이들이 표본에서 DNA를 추출해 쥐의 배아에 주입한 뒤 그 유전자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관찰한 결과 이 유전자는 쥐에서 연골조직을 만들어내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 연골조직은 후에 뼈로 발전했다.
연구진은 "이 방법을 활용하면 이미 멸종된 동물 종들의 유전적 다양성까지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며 "이 연구결과는 새로운 의약품 개발과 멸종동물에 대한 이해 확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citech@yna.co.kr
(끝)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미국과 호주 공동연구진이 1930년대 호주에서 멸종된 태즈메니아 호랑이(thylacine)의 유전자를 추출해 쥐에 주입, 생물학적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 텍사스대 리처드 베링거 교수와 호주 멜버른대 앤드루 패스크 박사팀은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 최신호에서 박물관에 보관돼 있는 태즈메니아 호랑이 표본에서 유전자(Col2a1)를 뽑아내 쥐에 주입, 이 유전자가 연골과 뼈 형성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지금까지 우리는 멸종동물이 가진 몇몇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데 그쳤다"며 "이 연구는 나아가 멸종된 동물의 유전자가 생명체에서 어떤 기능을 했는지 밝혀내는 첫 걸음"이라고 말했다.
태즈메니아 호랑이는 아기주머니가 있는 유대류 중에서는 가장 큰 육식동물로 호주에 주로 서식했으나 20세기 초 사냥 때문에 멸종했다. 1936년 호주 호바트 동물원에서 마지막 남은 한 마리가 죽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이 연구에서 호주 멜버른의 빅토리아박물관의 알코올 속에 보관돼 있는 100년 된 태즈메니아 호랑이의 표본을 이용했다.
이들이 표본에서 DNA를 추출해 쥐의 배아에 주입한 뒤 그 유전자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관찰한 결과 이 유전자는 쥐에서 연골조직을 만들어내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 연골조직은 후에 뼈로 발전했다.
연구진은 "이 방법을 활용하면 이미 멸종된 동물 종들의 유전적 다양성까지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며 "이 연구결과는 새로운 의약품 개발과 멸종동물에 대한 이해 확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citech@yna.co.kr
(끝)
'Tip&etc; ... Report > 신기술&etc;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고효율 공정기술 개발 (0) | 2009.03.15 |
---|---|
주문형 방탄개조 차량 성능 (0) | 2008.09.25 |
[스크랩] 반도체회로 선폭 1나노까지 줄여…연세대 염한웅 교수팀 (0) | 2008.04.06 |
[스크랩] 서울대 연구팀, `기억의 재구성` 메커니즘 세계 최초 규명 (0) | 2008.02.09 |
[스크랩]미래학자의 예견들 (0) | 2007.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