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의 해석은 여러 곳에서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대략 6군데 정도가 논란이 되는 부분이다.
....
변조가 명확한 부분도 있고, 그 외에 상당히 훼손된 부분이 많아 아쉬움을 더해주고 있지만 그 남은 부분만으로도 사서에 없는 많은 내용들을 전하여 줌으로써 그 미적 가치와 함께 역사적 가치 역시 생각하게 한다.
▼
▲
1905년 이전엔 명확히 '아피수'였으나 일본인 탁본부터 '아리수'로 바꿨다.
1889 년 주운태 탁본 : 新羅城 ?城 倭寇大潰城....
(신라성에 들어온 왜구가 크게 궤멸되었다...)가
100년 뒤 싸까와 판엔
1981 년 쌍구가묵본-사까와 : 新羅城 ?城 倭滿倭潰城....
(왜가 신라성에 가득차고 그 왜가 신라를 궤멸시켰다...)로 바뀌었다고 하고,
현재 가보면(석회가 떨어진 뒤) 1889년 글자로 육안 확인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형구 교수)
석회가 흘러 내린 자국
<朝貢而倭以辛卯年來渡□破百殘□□[新]羅以爲臣民> 부분.
좌 - 중국 사회과학원 서건신(徐建新) 교수가 발견한 1881년에 제작된 최고(最古)의 탁본
우 - 1883년 일본 육군 참모본부의 사카와 카게노부가 입수한 탁본
쌍구개판본(雙鉤開版本)
to050606-1공개토왕비문역대비교.gif
0.07MB
'Language & ... Writing > 광개토태왕비와 임나의 실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소담 선생이 소장한 광개토왕비 탁본 중, 신묘년부분 (0) | 2008.10.08 |
---|---|
[스크랩] 광개토대왕 비문 / 독고혁 (0) | 2007.11.02 |
[스크랩] 신용하 교수의 임나일본부설의 허구성 (0) | 2007.10.24 |
[스크랩] 임나흥망사4-광개토왕 비문 최대 쟁점과 야마토정권의 큐슈 쟁탈사 (0) | 2007.10.24 |
[스크랩] 임나흥망사4-광개토왕 비문 최대 쟁점과 야마토정권의 큐슈 쟁탈사 (0) | 2007.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