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History/홍원탁-북방민족사

[스크랩] 15. 첫 정복왕조 탁발선비 북위(北魏)의 출현

monocrop 2007. 1. 2. 18:03
 

15. 첫 정복왕조 탁발선비 북위(拓跋鮮卑 北魏)의 출현


Maintaining the Dual System: Northern Wei of Tuoba Xianbei



탁발 선비는 전연(前燕)이 만들어낸 이원통치 체제를 답습 해, 처음으로 북중국 전체를 지배하는 이민족 왕조를 수립했다. 탈발규(r.386-409)는 모용선비 병사들을 자신의 군대에 흡수했고, 모용 선비족 지배층은 북위조정 내에 지배 귀족층을 구성하는 주요 씨족의 하나로 살아남았다. 북위의 문민 관료제도는 한족들 또한 탁발 조정으로 끌어들였다. 북위는, 한편으로는 정복한 중국 땅을 중국식 관료제도로 다스려 다른 유목민족에 대해 국력의 우위를 확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족중심의 유목민 전통을 바탕으로 부족의 정예들로 군대를 조직 해서, 정복한 한족에 대한 군사적 우위를 시종일관 하게 유지할 뿐 아니라, 침략해 올 가능성이 있는 다른 유목민족들에 대해서도 군사적인 우위를 지킬 수 있었다. 모용선비가 시작하고, 탁발선비가 이어받은 2원적(二元的) 국가조직은 요(遼), 금(金), 청(淸) 같은 후대 정복왕조의 귀감이 되었다. 만주는 몽골족의 원(元)을 제외한 모든 정복왕조를 낳고 키운 산실이며 요람이었다. 선비족 예술의 특유한 양식은 북위의 평성(平城)시대 전반을 통해 지속되었고, 섬서와 녕하성에 자리잡았던 북주시대 까지도 존속하였다. 탁발선비족 유적지에서 발굴된 유물들을 보면, 시베리아와 몽골초원 유목민들의 초기 예술적 전통의 흔적도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구려 고분벽화에 낯익은 사람들은, 섬서성에서 발굴된 갑옷을 입은 말 모양의 토기를 보고, 고구려 사람이 만든 토기라고 생각을 할 것이다. 특히 호흐호트(呼和浩特)에서 출토된 말과 마부의 토기는 신라 토기로 오인될 정도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 .../편집자 주



탁발선비 북위(拓跋鮮卑 北魏)의 이원통치체제 유지

첫 정복왕조의 출현


홍원탁 (서울대 교수)


모용선비족 보다 더 후진적이었다는 탁발선비족

만주의 여러 부족들 중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 해 가장 유목민적 이었던 탁발 선비는, 전연(前燕)이 만들어낸 이원통치 체제를 답습 해, 처음으로 북중국 전체를 지배하는 이민족 왕조를 수립했다. 탁발선비 왕국은 처음에 대(代)라 칭했다. 341년, 대의 지배자 시이지안(r.338-76)은 모용황(r.333-49)의 누이동생인 자신의 처가 죽자 황(皝)에게 또 다른 공주를 처로 삼도록 보내달라고 청했다. 모용황은 그 대가로 말 1천 필을 요구했다. 그러자 시이지안은 아주 무례한 태도로 거절을 했다. 343년, 모용황이 태자 준(r.349-60)과 평(評)에게 군사를 주어 탁발선비족을 공격하게 하자 시이지안은 부족을 이끌고 산 속으로 달아나 숨었다. 344년, 시이지안은 모용황의 딸을 신부로 맞이 해 오도록 동생 질(秩)을 연나라에 보냈다. 몇 달 후, 모용황은 사신을 보내 자기한테도 공주를 보내줄 것을 요청했다. 시이지안은 자신의 누이 동생을 황에게 시집 보냈다. 1 376년에 부견이 군대를 보내 대를 공격했을 때 시이지안은 무리를 이끌고 산속으로 달아나 숨어 있다가 죽었다.


시이지안의 손자인 탈발규(r.386-409)는 396년에 북위(386-534) 황제라 선포하고 모용선비 병사들을 자신의 군대에 흡수했다. 2 모용 선비족 지배층은 탁발 북위(386- 534) 조정 내에 지배 귀족층을 구성하는 주요 씨족의 하나로 살아남았다. 북위의 문민 관료제도는 한족들 또한 탁발 조정으로 끌어들였다.3


탁발선비 지배층은 북중국을 정복한 후, 자신들 군대를 지휘할 때 계속 선비 언어를 사용했다. 4 하지만 후에 탁발 북위가 중국화 하자, 이들 군사 명령어(鮮卑號令) 중 많은 부분이 알아들을 수 없게 되었다. 탁발 선비의 언어는 아마도 거란어의 직계 조어(祖語)이었을 것이다. 5


이원제도의 유지

부족을 중심으로 하는 군대조직 덕분에 보급이 잘되는 기병대를 보유했던 북위는 초원지대 깊숙이 원정군을 보낼 수 있었다. 거의 모든 부족들은 부대 단위로 조직되어, 할당된 지역에 거주하면서, 국경수비 공동체의 구성원 역할을 하였다. 6 부족민과 군사에 관련된 문제는 각 부족 고유의 전통에 따라 처리되었다. 정복된 한족 거주지역은 한족 관료들에 의해 통치되었으나, 고위직은 대부분 선비 귀족들이 차지했다. 전통적으로, 한족들의 이상은 능력주의 사회인데 반해, 유목민족들은 세습적 귀족제도를 고수했다. 북중국 귀족가문들은 대부분 한족이 아닌 이민족 출신이었으며, 이들은 정복왕조 중앙정부의 고위직을 대부분 독차지한 것이다.


한편으로는 정복한 중국 땅을 중국식 관료제도로 다스려 다른 유목민족에 대해 국력의 우위를 확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족 중심의 유목민 전통을 바탕으로 부족의 정예들로 군대를 조직해서, 정복한 한족에 대한 군사적 우위를 시종일관 하게 유지할 뿐 아니라, 쳐들어 올 가능성이 있는 다른 유목민족들에 대해서도 군사적인 우위를 지킬 수 있었다. 모용선비가 시작하고, 탁발선비가 이어받은 2원적 국가조직은 요(遼), 금(金), 청(淸) 같은 후대 정복왕조들의 귀감이 되었다. 만주는 거의 모든 정복왕조를 낳고 키운 산실이며 요람이었다.


Barfield(1989: 105)는 “한(漢)이 멸망하고 첫 번째 만주족 정복국가(탁발북위)가 등장하기까지는 150년이 걸렸고, 당이 망하고 나서는 75년이 걸렸으나, 명(明)이 망할 때는 거의 동시에 만주족 정복왕조가 들어섰다. 한족 왕조가 망하고 나서 정복왕조가 들어서기까지의 시간은 점점 단축되었지만, 그 방식은 똑같았다”고 말한다.7


439년에 북중국을 통일한 북위 태무제(太武帝, 423-52)는, 일찍이 429년에 오르콘강 유역의 유연(柔然) 몽골을 정벌할 때, “한족들은 보병이고 우리는 기병이다. 망아지나 암소 떼들이 호랑이나 늑대 무리를 어찌 당할 수 있겠는가? 유연 몽골은 여름철에는 북쪽에서 방목을 하고, 가을에는 남쪽으로 내려오며, 겨울이 되면 우리 국경을 침범한다. 우리는 그들이 여름철에 목초지에서 방목을 하고 있을 때 공격을 하면 된다. 숫말들은 암말을 쫓아다니고, 암말은 새끼들 돌보기에 정신이 없기 때문에, 그들의 말들은 모두 쓸모가 없게 된다. 그럴 때 우리가 덮쳐서 그들을 목초지와 물가에서 쫓아내면, 며칠도 안돼서 모두 포로가 되거나 붕괴될 것”이라고 말했다. 8


중국화 되고, 불교의 영향으로 무기력하게 되고

북위 조정이 마침내 중국화되고, 불교의 영향으로 무기력해지자, 국경정책도 옛 한족왕조들 모양으로 성벽을 쌓고 지키거나 유목민들에게 화평의 대가를 지불하는 방식이 되었다. 9 북위의 효문제(孝文帝, 471-499)는 중국식으로 황제중심의 전제체제를 확립한다며 정부 관직을 온통 한족으로 채우기 시작했고, 494년에는 수도를 선비족 고향에 가까운 평성(平城, 현재의 大同)에서 낙양으로 옮겼다. 그는 심지어 조정 내에서 선비 언어의 사용을 금지해버렸다.


유목민 정복자들이 중국화 되어, 새로 나타난 유목민족에게 망하던지, 아니면 한족에게 쫓겨나게 되는 순간이 항상 찾아온다. Twitchett(1979: 97)는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한때 북위의 국경선을 지키던 군 부대들은, 한족들이 하던 식으로, 범죄자들을 내다버리는 쓰레기장이 되었고, 관료들의 착취 대상이 되어, 사회적 지위를 박탈당한 반항집단으로 변했다. 마침내 524년에 북방의 국경지대를 수비하던 선비족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선비 예술의 특유한 형태

중국대륙 북부의 탁발선비족 유적지에서 발굴된 고고학적 유물들을 보면, 시베리아와 몽골초원 유목민들의 초기 예술적 전통도 발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시 선비족들이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 북부에 위치했던 옛 박트리아와 교류가 있었고, 로마 통치하의 중동과 교역을 했으며, 초기적 불상 모습에서 볼 수 있듯이, 인도와도 접촉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10


고구려 고분벽화에 낯익은 사람들은, 섬서성에서 발굴된 (5호16국 시대) 갑옷을 입은 말 모양의 토기를 보고, 고구려 사람이 만든 토기라고 생각을 할 것이다. 특히 호흐호트(呼和浩特)에서 출토된 (맨손으로 빚어 만든) 말과 마부의 토기는 신라 토기로 오인될 정도다. 한국사람들은 이런 모양의 토기에 너무나도 친숙한 것이다.


선비족 예술의 특유한 양식은 북위의 평성(平城)시대 전반을 통해 지속되었고, 섬서와 녕하성에 자리잡았던 북주시대 까지도 존속하였다. 11


534년에 북위는 동위와 서위로 갈라졌다. 이민족적인 요소가 훨씬 강했던 서위는 557년에 북주(北周, 557-81)가 되어, 577년에 북제를 정복하고 579년에 진(陳)의 강북 땅을 차지해, 짧은 기간 동안이나마 북중국을 재통일할 수 있었다. 수(隋, 581-618) 나라는 선비족 북주의 후계자로서 천하를 통일한 것이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1-10 (2005. 2. 26.)

정리: 강현사 박사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각주]

1. 魏書 卷一 序紀 第一

昭成皇帝諱什翼犍痲烈帝臨崩... 建國二年 [339] … 慕容元眞妹爲皇后…四年 [341]…皇后慕容氏崩… 七年 [344] 遣大人長孫秩迎后慕容氏元眞之女於境 … 慕容元眞… 求交婚…以烈帝女妻之

魏書 卷二 太祖紀 第二

太祖道武皇帝 諱珪 昭成皇帝之嫡孫 獻明皇帝之子 … 年六歲昭成崩 …苻堅遣將…國衆離散

資治通鑑 卷九十七 晉紀十九

建元元年 [343] … 代王什翼犍復求婚於燕 燕王皝使納馬千匹爲禮 什翼犍不與又倨慢無子壻禮 … 皝遣世子儁 帥前軍師評等 擊代 什翼犍帥衆避去 燕人無所見而還

Schreiber (1949-55: 473) 참조.


2. Barfield (1989: 106)

3. Schreiber (1949-55: 388) 참조.

齊朝有一位士大夫 曾經對我說 我有一個孩子 已經十七歲了 懂得一些書信 公文的書寫 我敎他學習鮮卑語和彈琵琶 只要稍稍掌握一些 就可以用這些本領去 爲公卿們效力了 沒有不受寵的道理 這也是一件很重要的事情


4. 隋書經籍志의 鮮卑號令을 인용. Schreiber (1949-55: 387-8) 참조.

5. Janhunen (1996: 190-191)

6. Barfield (1989: 118-119)

7. Barfield (1989: 112, 124)


8. Grousset (1970: 62-63) 참조.

9. Barfield (1989: 124) 참조. Jagchid and Symons(1989: 145)에 의하면, 북위의 탁발선비족 지배자들은 다른 유목국가 혹은 한족과의 결혼에 의한 동맹관계 수립을 꺼려하였다. 그들의 혼인 정책은 주로 유목민 혹은 다른 독립국가에서 망명해 온 사람들을 북위 사회 안으로 흡수융합 시키기 위한 결혼에 국한되었었다. 북위가 국경무역과 공물(貢物)교환이란 한족 방식의 방어정책을 계속 기피하다가 마침내 그 방침을 변경한 것은 경종(敬宗, 528-530)이 왕위에 올랐을 때 이었는데, 이는 북위가 534년에 몰락하기 겨우 6년 전 이었다.


10. Watt, et al. (2004: XIX)


 11. Watt, et al. (2004: XIX)




Maintaining the Dual System : Northern Wei of Tuoba Xianbei

The First conquest dynasty


Wontack Hong

Professor, Seoul University


tuoba, the more backward xianbei than the murong

The Tuoba were the most westward and most nomadic of the Manchurian tribes who could establish the first Xianbei dynasty in the whole of North China, taking advantage of the dual system created by Former Yan. The early Tuoba kingdom was called Dai. In 341, the ruler of Dai, Shi-i-jian (r. 338-76), had lost his wife who was a sister of Murong Huang (r. 333-49). He therefore had asked Huang for another princess. Huang demanded one thousand horses as price for the new wife. Shi-i-jian refused to pay the price and added abuses to his refusal. In 343, Huang sent his heir apparent Jun (r. 349-60) and Ping with troops against the Tuoba. Shi-i-jian and his entire people fled into the mountains. In 344, Shi-i-jian sent his brother Zhi to (Former) Yan for his new wife. Several months later, Murong Huang sent an envoy to Shi-i-jian to ask for a princess for a wife. Shi-i-jian consented and selected his own sister for Huang.1 When Fu Jian invaded Dai in 376, Shi-i-jian died while hiding in the mountains. Tuoba Gui (r. 386-409), a grandson of Shi-i-jian, adopted the Yan pattern of dual organization and became the founder of the Northern Wei (386-534), declaring himself emperor in 396 and incorporating Murong soldiers into his army.2 The Murong Xianbei leaders survived as one of the leading clans among the ruling elite of Tuoba Wei. The dual organization with civil bureaucracy also attracted the Han Chinese to the Tuoba court.


Tuoba language and Xianbei language were one and the same. The Northern Wei was later divided into the Western Wei and the Eastern Wei, and the latter became the Northern Qi (550-77). According to the Yan-shi Jia-xun written during the reign of Northern Qi, a Han Chinese official of the Qi court was teaching his son the Xianbei language so that he could become useful to the highest officials of the state and may gain their favor as well.3 When the Tuoba Xianbei conquered northern China, the new rulers continued to use their own language for the commands in their army. Later, when the Tuoba Wei became sinicized, many of these commands could no longer be understood.4 The Tuoba language may have been directly ancestral to the Qidan language.5


maintaining the dual system

Northern Wei depended on troops of tribal origin and maintained a well-supplied cavalry force that could strike deep into the steppe. Most tribesmen were organized as military units and settled on allocated land, acting as garrison communities.6 Tribal people and military affairs were handled according to their own tribal ways, and Chinese areas were ruled by Chinese administrators, though most high positions were reserved for the Xianbei aristocracy. Nomads maintained hereditary aristocracy, while the old Han Chinese ideal was a meritocracy. The aristocratic clans in North China were mainly non-Chinese in origin, and they were a major source of high-ranking officials for the central government of foreign conquest dynasties.


Organizing the conquered land with Chinese bureaucrats ensured ascendancy over the other nomads, while organizing the military force with tribal elites helped to retain the original military superiority over the subjugated Chinese as well as over would-be savage invaders. This dual system became the model for the foreign dynasties such as Liao, Jin and Qing. Manchuria became the cradle for almost all of China’s foreign dynasties. Barfield (1989: 105) notes that: “It took 150 years from the fall of Han to the first Manchurian state [Tuoba Wei], about 75 years from the fall of Tang, and it occurred simultaneously with the fall of Ming. The time got shorter, but the pattern remained the same.”


The Chinese dynasties had relied for defense on great walls, gifts and trade, and periodic massive attacks on the nomads. The strategy of the Manchurian dynasties that occupied northern China was to win over nomadic tribal leaders by a series of marriage alliances, and to disrupt tribal confederations by supporting rival leaders or destroying a growing power. Manchurian rulers and their troops knew steppe conditions and how to deal with their steppe cousins. They tried not simply to defeat an army but to destroy the economic and political base of the nomadic state by robbing it of people and animals.7


When Tai-Wudi (423-52) of Wei, who unified the entire North China by 439, was making an attack against the Jou-jan Mongols around Orkhon in 429, he made a comment (Grousset, 1970: 62-63): “The Chinese are foot soldiers and we are horsemen. What can a herd of colts and heifers do against tigers or a pack of wolves? As for the Jou-jan, they graze in the north during the summer; in autumn, they come south and in winter raid our frontiers. We have only to attack them in summer in their pasture lands. At that time their horses are useless: the stallions are busy with the fillies, and the mares with their foals. If we but come upon them there and cut them off from their grazing and their water, within a few days they will be either taken or destroyed.”


sinicized and tamed by the buddhism

As the Wei dynasty became sinicized and also tamed by the influence of Buddhism, its frontier policy began to resemble that of the native Han Chinese dynasties, relying on walled defenses and payoffs to the nomads.8 Wei Emperor Xiao-wen (471-499), in pursuit of a Chinese-type autocratic imperial institution, began staffing the government almost exclusively with Han Chinese and moved its capital from Ping-cheng (Da-tong) in the tribal borderlands to Luo-yang in 494. He even prohibited the use of the Xianbei language at court.


Xiao-wen’s father was such a devout Buddhist as to abdicate the throne to become a monk. The Wei rulers of barbarian origin were free from the Confucian prejudice and hence could unreservedly absorb the Buddhist religion and, inspired by the Greco-Buddhic Gandhara tradition, could create the great sculptures in such mystic forms. Grousset (1970: 66) states that: “These ferocious warriors, once touched by the grace of the bodhisattva, became so susceptible to the humanitarian precepts of the sramanas as to forget not only their native belligerence but even neglect their self-defense.”


The moment always arrives when the nomadic conquerors become sinicized, and then either defeated by the fresh nomads or eliminated by the Han Chinese. According to Twitchett (1979: 97), the once proud military units along the Wei frontier “became, in the Chinese manner, the dumping grounds for criminals, fertile fields for exploiting functionaries, and social classes at once déclassé and rebellious.” The Xianbei soldiers assigned to the northern frontier garrisons rebelled in 524.


the distinctive style of xianbei art

The archeological finds from the Tuoba Xianbei sites in North China document the survival of the earlier tradition of the art of the nomads from the Siberian and Mongolian steppes; contacts with ancient Bactria in present-day northern Afghanistan; trade with the Roman Near East; and contact with India as shown by early Buddhist images.9 Anyone who is familiar with the Koguryeo tomb paintings will readily identify the pottery figure of the armored horse found in Shaan-xi (dated to the Sixteen Kingdoms period) as a Koguryeo product. The handmade groom and horse potteries excavated at Hohhot may be identified as Silla products as well. Koreans are very familiar with these kinds of figures.


The distinctive style of Xianbei art persisted through the Ping-cheng period of Northern Wei and survived into the Northern Zhou state (557-81) in Shaan-xi Province and Ning-xia.10


The Western Wei, in which the Xianbei elements remained strongest, became the Northern Zhou in 557 that could briefly reunify northern China by conquering the Northern Qi in 577 and occupying the northern territory of Chen in 579. The Sui dynasty (581-618) came to unify the mainland China as the successor of Xianbei Northern Zhou.



[각주]

1 See quotes from the Zi-zhi-tong-jian 97 and Wei-shu 1 by Schreiber (1949-55: 473).

魏書 卷一 序紀 第一

昭成皇帝諱什翼犍痲烈帝臨崩

... 建國二年[339] … 慕容元眞妹爲皇后…四年[341]…皇后慕容氏崩… 七年[344] 遣大人長孫秩迎后慕容氏元眞之女於境 … 慕容元眞… 求交婚…以烈帝女妻之

魏書 卷二 太祖紀 第二

太祖道武皇帝 諱珪 昭成皇帝之嫡孫 獻明皇帝之子 … 年六歲昭成崩 …苻堅遣將…國衆離散

資治通鑑 卷九十七 晉紀十九

建元元年 [343] … 代王什翼犍復求婚於燕 燕王皝使納馬千匹爲禮 什翼犍不與又倨慢無子壻禮 … 皝遣世子儁 帥前軍師評等 擊代 什翼犍帥衆避去 燕人無所見而還

2 Barfield (1989: 106, 118-9)

3 The Yan-shi Jia-xun 顔氏家訓 written by Yan Zhi-tui 顔之推

of Northern Qi (北齊)

See Schreiber (1949-55: 388).

齊朝有一位士大夫 曾經對我說 我有一個孩子 已經十七歲了 懂 得一些書信 公文的書寫 我敎他 學習鮮卑語和彈琵琶 只要稍稍 掌握一些 就可以用這些本領去

爲公卿們效力了 沒有不受寵的 道理 這也是一件很重要的事情

4 鮮卑號令 Quotes from the Sui-shu Jing-ji-zhi 隋書經籍志. by Schreiber (1949-55: 387-8).

5 See Janhunen (1996: 190-191).

6 Barfield (1989: 118-119)

7 Barfield (1989: 112, 124)

8 Barfield (1989: 124)

According to Jagchid and Symons (1989: 145), the Tuoba leaders of the Northern Wei resisted forming

intermarriage ties with other nomadic states or the Chinese. Northern Wei unwillingness to utilize trade and tribute exchange as a means to stabilize relations changed when Emperor Jing-zong (r.528-530) ascended the throne, i.e., only six years prior to its downfall in 534.

9 Watt, et al. (2004: XIX)

10 Watt, et al. (2004: XIX)



출처 : 동이민족 역사사료
글쓴이 : 稽古諮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