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중요한 내용입니다.
고조선 이전의 청동기 일관제조시설이 현재 < 通化 >에서 발굴되었습니다. 아시아에선 처음입니다.서토왕조의 청동기는 아연 함유량이 무척 적습니다. 당시 아연을 섞어서 용융점을 낮추는 대단한
청동기 합금기술이 제철기술보다 더 어려운것으로 알고 있고 철기가 <히타이트>에서 시작되었다는
우리가 배워왔던 식민사관의 주장과 정면 배치되는 사실입니다.(운영자 주)
----------------------------------
사진설명 :쇠반달칼(길이 12.7cm).
----------------------------------
<범의 구석> 유적과 철기문화
1988년 평양의 「조선유적유물편찬위원회」에서는 1만여 점의 유물을 전20권에 걸쳐서 <조선유적유물도감>이라는 이름으로 출간했다. 그 가운데 고조선 시대의 유물에 대한 도감은 1995년 <한민족의 문화 유산>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신문 방송인클럽이 서울에서 출간했다. 이 자료에 나타난 고조선의 초기 철기 문화를 살펴본다.
신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수천 년간의 역사를 담고 있는 이 유적층 가운데 제5문화 층은 기원전 7세기에서 기원전 5세기에 해당하는 문화층이다. 범의 구석 유적(5문화층)에서 쇠도끼, 쇠창, 쇠대패날, 쇠끌 등 적지 않은 철기가 나왔다. 쇠창은 청동기시대의 버들잎 모양의 훅요석 창끝과 비슷하며 구두칼 모양의 쇠칼도 이전 시기의 점판암 으로 만든 칼과 비슷하다.
청동기시대의 석기를 그대로 모방한 이와 같은 철기의 형태는 이곳의 유물이 철기시대에 들어 선 초기의 것임을 말해 주고 있다. 북한 학자들은 여기서 출토된 쇠도끼는 완전 용융상태에서 얻어진 선철 주물품 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기원전 6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질 좋은 선철제 도끼를 생산했다는 것은 세계 제철 기술사에서도 그야말로 보기 드문 예이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3세기경 선철을 이용해 도구를 만들었으며, 유럽에서는 14세기가 되어서야 액체상의 선철을 이용할 수 있었다. 남한의 학자들은 대개 한반도에서 철기시대가 빨라야 기원전 4세기 경에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
'역사관련 글들 > 새 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천년전 고대 마야문명 왕족 무덤 발굴> (0) | 2011.09.25 |
---|---|
[스크랩] 오키나와(유구)에서 발굴된 4000년전 한국계 유물들. (0) | 2011.09.25 |
[스크랩] 고대문화사와 중국사서의 진실성 ... (Decisively,the ancient Korean gave futile cultures to the Chinese) (0) | 2011.09.25 |
[스크랩] 홍산문명이 문자를 가졌다는 증거들.(Hongshan culture has own characters) (0) | 2011.09.24 |
[스크랩] 일본의 비밀 이코마 터널 알면 피가 거꾸로 쏟을것이다 (0) | 2011.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