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엽가(#2862) 柿本朝臣人麻呂之歌集出
원문 山 川 水 陰 生 山 草 不 止 妹 所 念 鴨 <전북고창 동림저수지 철새군무/뉴시스 신홍관 촬영> ----------------------------------------------------------------------------- 한국어로 해독 못(池)은 물가 날라온 :山(모) 川(텬) 水(믈) 陰(가날) 生(나흔)
못(池)에 앉지메 :山(모) 草(새) 不(안) 止(지) 妹(매)
봐서 물오리(鴨) :所(바) 念(스믈) 鴨(올히)
해설:
못(池)은,물가 날라온
보니 물오리 떼구나.
문자풀이:
몯(못/고어) 모텬=몯흔=모튼 =못은(현대발음)
흔=은(중세 주격조사 발음)
川:톈(천/독음/고어)
水:믈(고어:믈 슈(水)
陰:가날(그늘의 고어)
生:나흔(낳은:고어)
妹:독음(매)
所(바 소)念(스믈/20 념)
所念:바 스믈(봐서+물)
鴨:올히(오리/고어)
일본 고시가를 모아 놓은 책이 만엽집이다. 약 4세기에서 9세기 이전까지 쓰여진 한자로 구성되어진 노랫말이다.
신라의 향가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 삼국중에서도 신라의 노래집인 "삼대목"은 아직 발견되지않고 있다. 남아있는 향가는 15수이다. 반면에 일본에는
약 4600여수의 노래 중에 다양한 주제들로 구성된 만엽집의 노래가 존재하고 있다. 향가의 보고이다. 일본인들의 문화적 자랑거리가 바로 만엽집이다.
일본이 문화인으로서 자부심을 갖게한 만엽집, 일본 고전문학의 한 장르로서 수 많은 논문과 이설 및 통설이 난무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 일본어로서는 그 노래의 정확한 해독이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난제의 이유로 일본 고대어의 소멸을 들었다. 그러나 그 만엽가를 쓴 주체가 한국어를 쓴 한민족이라는 사실을 간과한 큰 오류를 범했다.
필자가 이미 91년, 93년일본서기 고대어는 한국어]와 [전혀 다른 향가와 만엽집]에서 그 주체가 한국인이라는 사실을 해독을 통해서 알린 바 있다.
신라 향가에 비해 대부분 짧은 문장으로 되어있다. 짧은 것들은 詩的 서정적인 노래말로 되어있다.
주제가 다양하다. 수 많은 당대의 문장가들의 실력이다. 서민들의 노래가 아니라는 점이다.
한문적인 소양과 소질을 갖춘 상류 사회의 지적 부산물이다. 이 노래말을 정확히 해독하므로써 그 시대의 정신과 풍속 등 제반 정보가 함축된 문화적 보고를 찾을 수 있다.
한국어로 된 것이라 믿는 이는 꼭 아래 추천에 클릭하여 강추해 주시길 바랍니다
1994년4월16일해독글
'역사관련 글들 > 새 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日서 백제가 역법 전수 증명 6세기 칼 발견 (0) | 2011.09.22 |
---|---|
[스크랩] 세계문화유산-불가리아 (BULGARIA) (0) | 2010.07.03 |
U.S Army China Map Link (0) | 2009.07.22 |
역사 관련 거의 모든 지도가 있는 곳 (0) | 2009.07.22 |
역사관련 글들이 잘 모아져 있는 곳들 (0) | 2009.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