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정치문화

개지랄을 떠는 일본과 이를 방조하는 이명박

monocrop 2008. 5. 18. 10:19

日, 중등 교과서에 "독도는 일본 땅" 명시 지침

연합뉴스 | 기사입력 2008.05.18 09:08


(도쿄=연합뉴스) 이홍기 특파원 = 일본 문부과학성은 중학교 사회교과의 신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한국과 영유권 분쟁을 빚고 있는 독도(일본명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q=%B4%D9%C4%C9%BD%C3%B8%B6&nil_profile=newskwd&nil_id=v20080518090810361" target=new>다케시마 < 竹島 > )를 "우리나라 고유 영토"로 명기할 방침이라고 요미우리(讀賣)신문이 18일 보도했다.

신문은 일본의 학습지도요령이나 해설서에서 지금까지는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q=%B7%AF%BD%C3%BE%C6&nil_profile=newskwd&nil_id=v20080518090810361" target=new>러시아와 영유권 문제가 걸려있는 북방 4개 섬에 관한 기술은 있었지만 독도에 대한 기술은 한일 양국관계를 배려해 보류해 왔다고 전했다.

일본의 민간 교과서 출판사들은 문부과학성의 학습지도요령과 해설서에 기초해 교과서를 펴내기 때문에 이번 조치는 앞으로 나올 교과서 내용에 직접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해설서는 10년에 한 번 지도요령의 개정에 맞춰 문부과학성이 작성하는 것으로 초중고의 각 교과별로 만들어져 지도요령의 내용을 보완토록 하고 있다.

해설서는 또 지도요령과 마찬가지로 교사의 수업시 지침이 된다.
신문에 따르면 문부과학성은 "교과서 검정의 기준으로 구속력을 갖는 것은 지도요령이지만 해설서도 지도요령의 해석에 관한 기술에는 실질적인 구속력을 갖는다"고 해석하고 있다.

문부과학성은 올 3월 초중고교의 신지도요령이 관보에 고시됨에 따라 신 해설서를 6~7월 중 완성할 예정이다.

신학습지도요령은 초등학교의 경우 2011년, 중학교의 경우 2012년부터 전면 시행된다.
lhk@yna.co.kr

日교과서 검정 왜곡 “독도는 일본땅 통과”

경향신문 | 기사입력 2007.03.30 22:14


일본 정부가 내년부터 사용될 고교용 교과서에 대해 독도의 일본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검정을 통과시켜 주목된다. 또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q=%C1%BE%B1%BA%C0%A7%BE%C8%BA%CE&nil_profile=newskwd&nil_id=v20070330221407922" target=new>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옛 일본군이 강제동원하지 않았다'는 일본 정부의 일방적인 주장이 그대로 강조된 채 통과됐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고교 2, 3학년용 교과서 224종에 대해 검정을 통과시켰다고 30일 밝혔다.

문부과학성은 특히 도쿄서적의 정치·경제 교과서의 독도 기술과 관련, 당초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q=%B4%D9%C4%C9%BD%C3%B8%B6&nil_profile=newskwd&nil_id=v20070330221407922" target=new>다케시마(독도의 일본명)의 영유권 문제 등 미해결 문제가 있다'는 부분을 '일본의 영토와 관련, 한국과는 다케시마를 둘러싼 문제가 있다'는 표현으로 수정해 통과시켰다. 또 세계사 연표의 '1693년 조선과의 사이에 다케시마 문제 발생'이라는 표현은 아예 오해의 소지가 있다며 삭제됐다.

이와 함께 대부분의 일본사와 세계사 교과서가 군 위안부 문제를 다루기는 했지만 옛 일본군이 위안부를 강제동원했다는 내용은 전혀 포함되지 않은 채 통과됐다. 출판사들은 아예 검정을 신청하는 단계에서 관련 내용을 포함시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q=%B1%B3%B5%B5%C5%EB%BD%C5&nil_profile=newskwd&nil_id=v20070330221407922" target=new>교도통신은 "출판사들이 쟁점 현안에 대해 미리 일본 정부의 견해를 배려한 것 같다"고 풀이했다.

일본 시민단체인 '어린이와 교과서 전국네트 21'의 다와라 요시부미 사무국장은 "이번 검정 결과는 일본 정부의 일방적인 주장만을 반영하고 있다"며 "이런 교과서로는 앞으로 아시아 국가와 우호관계를 쌓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한편 외교통상부는 교과서 검정결과에 대한 성명을 통해 "일본 정부가 우리 고유 영토인 독도를 자국 영토로 기술한 교과서를 통과시킨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로, 즉각 철회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일본 정부의 검정을 통과한 고교 교과서 중 일부가 여전히 과거를 직시하지 못하고 그릇된 역사인식을 토대로 하고 있는 데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덧붙였다.

〈도쿄|박용채특파원·유신모기자〉
 
 

“독도·일본 교과서 거론 않겠다”

-한나라 권철현 주일대사

중앙일보 | 기사입력 2008.04.19 01:45 | 최종수정 2008.04.19 02:05


[중앙일보 박소영] 권철현(사진) 신임 주일대사는 재임 중 독도나 일본 교과서 문제를 거론하지 않겠다고 18일 밝혔다. 권 대사는 이날 도쿄에서 주일 특파원들을 만나 "이명박 대통령으로부터 과거에 속박당하지도, 작은 것에 천착하지도 말라는 당부를 받았다"고 전했다. 그는 "낡은 과제이면서도 현안인 독도·교과서 문제는 다소 일본 쪽에서 도발하는 경우가 있어도 호주머니에 넣어두고 드러내지 말자"고 말했다.

권 대사는 또 "이 대통령은 일본과는 미래지향적인 관계, 가까운 친구, 선의의 경쟁자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 대통령은 특히 손에 잡히는 경제적 효과를 강조했는데, 일본 부품·소재 분야의 한국 투자 유치가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권 대사는 "이를 위해서는 두 나라의 여론이 좋아야 하고 깊은 신뢰 관계가 형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일본에 대해 갖고 있던 선입관과 편견을 버리고 새로운 한·일 관계 정립을 위해 일하겠다"고 강조했다.

도쿄=박소영 특파원
 
..........................................................................................mimesis
...'낡은 현안'인 독도.교과서 문제...라든지
   '다소'도발할 지라도...라는 말이 어떻게 나올 수가 있는 것인지...
   이미 '화려한'전과를 쌓고 있는 MB는 둘째치더라도 주일대사라는 인간도
   저게 할 소리인가. 여론이란 단어 뜻이라도 제대로 알고 있는가 의심스럽다.
   역사교육 퇴보하고 역사개념없는 '일부'기독교 날치더니 이런 황당한 상황이 정말로
   현실로 나타나는 것임을 인식하기 조차 힘드는군요.....